마리아 불임 클리닉의 부활
가이도 다케루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계기로 단순하게만 생각했던 생명 탄생에 수반되는 확률상의 희박성과 복잡성, 그리고 그 과정 속의 경이로움에 대해 다시 한 번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얼마전 [하얀거탑]이라는 제목의 의학 드라마가 다시금 기억에서 떠올랐다. 하얀 거탑이란 단어는, 의학도는 물론 우리 일반인들에게도 무언가 뜻 모를 경외감을 품게 한다. 거탑이라는 단어 속의 '탑'이라는 단어가 주는 속성상, [하얀거탑]이라는 단어는 일단 그 탑의 고지에 올라 보지 못하고, 낮은 자리에서 그 탑 꼭대기를 우러르게 되는 일반인들에게는 늘상 선망의 대상이 되고, 그 이유의 타당성과 적합성과 무관하게 막연한 동시에 한 없는 존경심을 품게 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그 탑을 쌓아올린 재료 속에 인간의 헛된 욕망이나 오만함 혹은 관료주의나 오래된 관행과 낡은 법률들이 포함되어 있다면, 그것은 언제 허물어 질지 모르는 불안함을 내포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 [마리아 불임 클리닉의 부활]은 하얀 거탑이 가지는 두 가지의 야누스 적인 속성 중 어두운 측면에 촛점을 맞추어 그 허구와 모순들을 적나라 하게 보여 주고 있다. 책 속에서 묘사 되어 있듯이, "메이지 시대의 법전으로 현대 의료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대 착오적인 오류에서 이 책의 줄거리는 비롯된다. 내 개인적으로는 내심 강도 높은 공포와 전율을 느끼게하는 의학 스릴러를 기대했는데, 의외로 책의 내용은 매우 사실적인 동시에, 인간적이고 따뜻하다. 인간 스스로 만들어 놓은 현실의 벽에 부딪혀 고민하고 갈등하는 자기 모순적인 한계와 고민들이 매우 실체적으로 다루어 지고 있다.

 

이 책을 읽어 보면, 일본의 사법 제도는 법적으로 난자 제공자가 엄마로서 그 자격을 제대로 인정 받지 못하고, 낳아준 사람 즉, 대리모에게 모든 권한이 주어 지는게 관행인 듯 하다. 이런 이유에서 였을까? 일본 사람들이 종종 대리모를 구하러 한국을 찾는 경우가 암암리에 많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뜻 밖에도 일본 소설을 통해 우리나라의 대리모를 통한 임신 및 출산의 법적 문제 등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고, 상호 연관성에 대해서도 추측해 보게 되었다. 요즘들어 더욱 절감하는 일 이지만, 세상의 모든 것들이, 제 아무리 상호 무관해 보이고, 하등의 연관이 없어 보이더라도, 종국에는 부지불식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거대한 네트워크의 파장을 형성하고 있는데, 일본 의료계의 현실 역시 종국에는 우리 나라에 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듯 하여 놀라웠다.

 

이 책은 의료 기술 혁신에 걸맞는 새로운 법률이 발빠르게 보조를 맟추지 못함에 따라, 관료와 사법 제도가 시대 흐름에 뒤쳐졌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주장들을 통해서 나는 개인적으로 우리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적인 역량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의사니까 의료 기술에만 집중하는 시대는 지났다."는 책 속의 어느 한 구절 처럼, 지금 우리가 맞이한 시대는 그 어느 때 보다도 상호 부조화 스럽고 이질적인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고 상호 협력해야 하는 듯 하다. 이처럼, 이 책은 처음에는 단순한 호기심과 재미를 위해 읽기 시작했는데, 뜻 밖에도 많은 생각과 고민들을 안겨 주었다. 극과 극은 통한다는 말 처럼, 발생학이 불임을 이해함으로써 완결되는 것 처럼, 이 책은 우리 사회 속의 다양한 극적인 요소들의 드라마틱한 화합과 상호 소통을 바라는 마음에서 지어진 것은 아닐까하는 생각도 해 보았다. 의학도라면 특히나 꼭 한 번 읽어 봄직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