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터 팬 ㅣ 펭귄클래식 45
제임스 매튜 배리 지음, 이은경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8월
평점 :
어릴적 ... 영화나 뮤지컬을 통해 지겨울 정도로 만나 보았던 피터팬 이었지만, 정작 원작 소설이 있다는 이야기나, 이 책의 작가인 제임스 매튜 배리의 작가로서의 삶에 대해서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었다. 피터와 웬디라는 두 주인공의 세계적인 유명세와 달리, 이 책의 저자인 매튜 배리에 대해서는 정작 후대의 대접이 너무 소홀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더욱이 원작 소설인 [Peter and Wendy]는 한 권의 책으로 읽히는 일은 극히 드문 듯 하다. 그래서 인지 피터팬을 소설로 읽는다는 개념이 처음에는 너무도 낯설었다. 하지만, 책을 읽자 마자 "왜 진작에 피터팬의 원작을 찾아 읽어보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을까?"하는 마음이 들 정도로 원작 소설의 강한 매력에 빠져 들었다. 한 마디로 기대 이상이었다.
이미 다 알고 있는 뻔한 내용을 책으로 읽는 터라 따분하거나 지루한 책 읽기가 될 거라 예상했었는데, 어릴적 뮤지컬이나 영화를 통해 만나보았던 피터팬 에서 느끼지 못했던 원작 소설만의 또 다른 참 맛을 느끼게 되었다. 이 책의 한 구절 한 구절들이 저마다 짜임새 있게 제 역할을 충실히 하며, 하나의 완벽한 전체를 이루어 나가도록 잘 계획된 듯 하였다. 게다가 구석 구석 살아 숨쉬고 있는 작가의 위트들에 나도 모르게 미소 짓는 순간들도 많았다. 100여년 전에 쓰여진 글이라고 하기엔 모든 것이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앞서 있는 느낌이었다. 상상력도 그렇고, 작가의 위트나 시대 풍자도 그렇고 .. 책의 속도감이나 박진감 역시 그랬다. 이 책에는 단 한 줄도 소홀하거나, 버릴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신기한 것은 이 책을 읽는 내내 어린아이가 된 듯 무척이나 행복하고 즐거웠다는 점 이다. 그래서 내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는 사람들은 무조건 책 앞머리의 서문을 건너 뛰고 바로 제 1장 부터 읽어나가기를 권하고 싶다. 책 앞머리에 나와 있는 잭 자이프스라는 분의 서문 덕분에 작가 제임스 매튜 배리의 개인적 삶의 여정과 시대적/가정적/사회적 배경을 통해 새롭고 폭 넓게 피터팬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지만, 다른 한편 피터팬의 태생적 배경에 대한 지식과 선입견 때문에 어린아이와 같은 순수한 마음을 잃어 버리게 된 듯 찜찜한 기분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본문과 서문을 읽는 순서만 바꾸어 순수한 마음으로 피터팬을 즐긴 후에 서문을 통해 지식을 넓혀간다면, 분명 200점 짜리 책읽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서문을 통해 자세히 다루어 지고 있는 작가 제임스 매튜 배리의 삶 또한 그의 작품 피터팬이라는 소설 만큼 극적이고 흥미로웠다. 1860년 5월 9일 스코틀랜드에서 직조공의 아들로 태어난 배리는 18살이 되어서도 키가 겨우 150센티미터 남짓했다고 한다. 책 표지에 나와 있는 배리의 흑백 사진 한 장이 왠지 모르게 모성본능을 자극한다. 꿈을 꾸는 듯한 몽환적인 눈빛과 함께 가녀리고 야위어 보이는 풍체가 가슴을 울리는 듯 했다. 서문에 나와 있는 배리의 인생 여정 속에는 유난히 슬픈일들이 많았던 듯 하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신의 콤플랙스와 슬픔들을 멋진 희곡과 소설 작품들을 통해 아름다운 예술로 승화 시켰다는 점에 나는 깊은 감명을 받았다. 모든 인간들의 슬픔이나 태생적/신체적인 결함들이 이 처럼 아름다운 작품으로 승화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한 권의 책을 작품은 물론, 작가의 삶도 깊이 있게 만나 볼 수 있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