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실화를 모티브로 쓰여진 소설>
이 책은 2005년 기사화 되었던 산악인 박정헌, 최강식씨의 6,440 m 높이의 히말라야 산맥 촐라체 봉의 등반에서 겪은 조난과 생환의 경험을 모티브로 쓰여져 있다. 남미 안데스 산맥 시울라 그란데 서쪽 벽에서 다리가 부러져 추락한 친구가 매달려 있는 로프를 끝내 잘라내는 내용을 담고 있는 한 실화 소설은 세계 산악인들 사이에서 고전 중의 고전으로 통한다고 한다. 때로 어떤 산악인은 자신 때문에 위험해진 동료를 위해 스스로 자일을 끊어 자신의 목숨을 거두기도 한다. "산에서 철저하게 제 명줄만 책임지는 것, 그래서 내가 위험하면 친구가 매달려 있어도 그 줄을 끊는 것", 이것이 바로 산악인 사이의 모럴이라 한다. 어찌보면 비정하고 냉혹하며, 마치 삶과 죽음이 종이 한 장 차이 처럼 그 경계가 모호하고 아득해진, 현실과는 동떨어진 비현실의 산악인의 세계에서, 우리나라 등반가 박정헌 씨는 후배의 목숨을 끝내 포기 하지 않고 지켜내어 우리에게 큰 감동을 준 바 있다. 갈비뼈 마져도 골절되어 내 한 몸 가누기 어려운, 그래서 자신의 목숨조차 보장 받지 못하는 사지(死地)에서도 후배의 목숨줄을 끝까지 부여 잡고 함께 지켜낸 실화가 모티브가 된 이 소설은 감동 그 자체이다. 
 
<산악인의 세계를 이해하게 되다>
예전에 개그맨 신동엽이 등산에 대해 한 말이 생각 난다. 도대체 어차피 내려올 산을 왜 그리 힘겹게 열심히 올라가는지 모르겠다고 .. 이 책을 만나기 전엔 나 역시 산악인들의 세계가 마치 내가 평생을 다해도 영원히 이해 불가한 4차원의 별 세계라고만 생각했고, 어릴적 허영호 라는 유명 산악인을 통해 막연히 가지고 있던 동경과 관심의 문 마져도 꼭꼭 잠가 둔지 이미 오래였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비현실적인 세계를 동경하는 산악인들의 현실 세계의 삶을 통해 그들의 가슴에 담긴 동경과 함께 그들을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에 닿게한 현실 세계의 삶을 어렴풋이나마 짐작하고 헤아릴 수 있게 되었다.  
 


"라인홀트 메스너는 '죽음의 지대'를 뚫고 나가려면 어떤 '모럴'이 필요하다고 썼다. '무덤과 정상 사이'는 '종이 한 장' 차이밖에 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을 뚫고 나갈 때 '오히려 지각이 맑아지고 민감해 지며' 마침내는 '전혀 새로운 생의 비전을 연다'는 것이다."

 
이 책의 어느 한 부분에서 "정직함이 클라이밍의 자유"라고 했던 표현이 인상적이었다. 자신을 가둬둔 현실 세계를 벗어나 목숨을 담보로한 위험천만한 모험에 자신을 내던지는 자유 ! 생사의 갈림길에서 자신의 나약함을 그대로 드러낼 수 있는 정직함의 자유 ! 이게 바로 오늘도 수 많은 등반가들이 산을 오르내리는 과정을 직업삼아 반복하며 살아가는 이유가 아닐까? 물직적인 것만을 채우기에 급급한 현실과 달리 목숨을 지키고 연명하기 위한 최소한의 것만을 지닌 채, 맨얼굴을 당당히 드러내고 살아 가는 삶을 택한 이유가 아닐까?

 
<바로 지금의 순간에 집중하여 살아가는 삶>
또한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과거도 미래도 아닌 바로 지금의 순간에 집중하여 살아가는 삶을 한 순간이라도 누리고 싶은 마음 때문은 아닐까? 그래서 많은 산악인들이 긴 세월을 평범한 경험으로 채우며 살아가기 보단, 비록 짧더라도 비범한 것들로 채우며 살길 원하는 것은 아닐까? 
 
"화사하게 빛나지만 그 만큼 죽음의 틈새가 가득한" 산악인의 모험과 비전을 이 책을 통해 새롭게 만날 수 있었다. 과거나의 산악인에 대한 막연함이 보다 구체적으로 가슴에 와 닿았다. 그리고 비록 현실에서 도피되고 괴리된 삶이지만, 산악인의 삶이 오히려 더 지극히 현실적인 것, 바로 지금의 순간을 살아가는 참된 삶일 수 있다는 깨달음도 얻게 되었다.  

"암벽 등반에는 지난 생이 끼어들 여지가 없다. 한 발 한 발 목숨을 통째로 걸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 무엇에 의지 하지 않고, 오로지 벽과 나 사이에서 생존해야 되는 실존적인 경험이 '긴 세월을 평범하게 살며 얻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준다'는 말이다"

 
<독특한 구성과 흥미 진진한 스토리, 다시 읽고 싶어지는 책>
근래 읽었던 책 중에 이 책 만큼 드라마틱한 소설은 없었던 듯 하다. 어려운 등반용어들도 배울 수 있었고, 또 이미 알고 있던 브랜드(예를 들면 crux)의 이름이나 단어들이 등반용어 였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책엔 인생의 크고 작은 진리들, 그리고 생각해 볼 점들이 많이 담겨 있다. 무엇보다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 그리고 혹시 모를 오해과 불신에 대해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다. 
 
책 서두의 [작가의 말]의 아래 글 처럼 언제 조용히 촐라체 만을 위한 시간을 다시 한 번 내서, 작가의 당부 처럼 이 책을 가로로 꿰고 있는 날줄에 주목해서 찬찬히 다시 음미 해 보고 싶다. 다시 읽고 싶은 마음이 저절로 드는 멋진 책 이다.  
 

"소설 촐라체의 서사 구조는 간명하다. 아버지가 다른 형제가 전인미답이다 '죽음의 지대'인 촐라체 북벽에서 6박 7일 동안 겪는 지옥같은 조난고 놀라운 생환 과정에 대한 꼼꼼한 기록이 서사의 기본 얼개이다. 하지만 작가인 내게 그것은 서사의 씨줄에 불과 하다. 문명에 의해 상실되어가고 있는 야성과 인간 한계의 벽을 넘어 서려는 실존적인 기호들이 서사의 씨줄을 가로로 꿰고 있다. 이것은 '산악 소설'이 아니다. 그들이 빙하로 뒤덮인 전인미답의 그곳에서 보고 겪은 것은 무엇이었을까. 작가로서 부탁 하고 싶은 것은, 이야기의 씨줄을 쫓아가면서 그것을 가로로 꿰고 있는 소설릐 날줄을 주목해달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