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 공자에서 정약용까지, 대표 유학자 13인이 말하다
백민정 지음 / 사계절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우리는 흔히 오래되어 고리타분 하거나 재미 없고 따분한 이야기를 말할 때 "공자 왈 맹자 왈"이라는 표현을 쓴다. 경우에 따라서 "공자 왈 맹자 왈"이라는 표현은 실천 없이 헛되이 탁상공론 만을 일삼는 태도를 지적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또한 공자와 맹자의 고차원적인 철학 사상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면서 단편적인 몇 마디 말씀만을 기계적으로 외워서 거론함으로써 아는 체 하는 어리석은 언행을 비꼬는 말로도 쓰인다.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은 한 마디로 "공자 왈 맹자 왈"을 소재로 쓰여진 책 이다. 공자와 맹자로 대표되는 2500년 유구한 역사를 지닌 유학 사상의 흐름을 한/중/일의 대표적인 13인의 유학자들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가 은연중에 "공자 왈 맹자 왈"하면서 유학 사상을 낡은 공동품인양 비하하고 방치하던 것의 문제점을 되짚어 보는 것 에서 시작 된다. 급작스런 서구화에 의해 동아시아는 서양에 비해 자신들이 뒤처져 있음을 깨닫게 되고, 이와 같은 문화적 부진함의 주범으로 유학 사상을 지목하게 된다. 작가는 이와 같은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오늘날 전통 유학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부정적인 경향을 갖게 되었다고 말한다. 바로 이와 같은 유학에 대한 사람들의 곱지 않은 시선과 막연한 오해/편견들을 구제적인 이해/올바른 견해들로 바로잡기 위해 유학 사상의 정수를 알리는데 이 책의 목적이 있다고 한다.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은 "유학 사상의 정수를 알리는" 목적에 의해 만들어진 책 인 만큼, 한 마디로 "공자 왈 맹자 왈"이 핵심 주제이다. 유학 사상을 주제로 한 책이어서 고리타분하고 난해할 것 이란 나의 예상과 달리 이 책은 흥미진진하고 쉽고 재밌기 까지 하다.

  공자와 맹자로 대표되는 유학 사상이라는 거대한 사상의 줄기를 설명하고 있는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첫 번째, 유학에 문외한인 대다수의 일반 독자들에게 눈높이가 맞추어져 있다는 점 이다. 그 만큼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되어 있다. 작가의 이런 세심한 배려는 때로 독자인 나를 깜짝 놀라게 하기도 했다. 그게 바로 이 책의 두 번째 특징이다.
  즉 두 번째 특징은, 독자가 책을 읽으면서 가질 수 있는 유학에 대한 여러 질문들에 작가가 선수를 치고 있는 점 이다. 책에서 설명된 13인의 유학자들의 사상들에 대해 추가적인 궁금증을 가지게 되는 순간, 얼마 후 작가가 이런 나의 질문들에 바로 바로 즉답하고 있음을 여러 번 느끼게 되었다.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은 위와 같이 독자의 입장이 충분히 배려되어 있기 때문에, 책을 통해 작가와 독자가 교감하게 되는 흔치 않은 경험을 하게 되는 책 이다. 기본적인 책의 구성 및 짜임새도 크게 나무랄 데 없이 알차고, 깔끔한 디자인에 무게 까지 가벼워서 휴대하기도 편했다. 여기에 무엇 보다 유학 이라는 장중한 주제를 쉽고 재밌게 다루고 있는 작가의 마법같은 솜씨가 유난히 돋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