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혼자 있고 싶은데 외로운 건 싫어
피터 홀린스 지음, 공민희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5년 4월
평점 :
🦢 혼자 있고 싶은데 외로운 건 싫어
▪️
✔ “혼자 있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자주 사과할 상황에 놓인다.
이 책은 그 모든 압박에 맞서기 위한 진심 어린 시도이다.
(...) 여러분은 자신의 에너지를 지키고,
자신만의 기준으로 행복한 삶을 설계할 권리가 있다.” (개정판 서문)
- 몇 년 전부터 유행한 MBTI 검사에서는 거의 100% 확률로 INFP가 나오는 나.
INFP는 타인이 해주는 자기 이야기를 듣는 걸
좋아하는 유형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는데,
그런 나에게 이 책은 제목부터 무척 흥미로웠다. ㅋㅋㅋ
<혼자 있고 싶은데 외로운 건 싫어>는 내향인을 위한 책이다.
나는 외로움을 크게 느끼는 편은 아니지만, 항상 혼자 있고 싶어 하는 사람이라
이 책은 꼭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ㅋㅋㅋ
▪️
✔ “내향성과 외향성을 가상의 사회적 배터리에 비유해보면 좀 더 이해하기 쉽다.
내향적인 사람은 많은 소통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 그들의 사회적 배터리는 외부 세계와 단절된 채 자신만의 공간에서 충분한 시간을 보낼 때 충전된다.” (p.26)
- 책은 내향성, 외향성, 양향성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한다.
♧ 내향성: 혼자만의 시간으로 에너지를 충전하는 사람
♧ 외향성: 사람들과 어울리며 에너지를 충전하는 사람
♧ 양향성: 두 성향의 중간 지점에 있는 사람
나는 책을 읽으며, 내향성의 네 가지 유형(사회형, 사색형, 불안형, 제약형) 중
'사색형 + 약간의 불안형'에 가까운 것 같다고 느꼈다.
혼자 머릿속으로 상상하고 구상하는 걸 좋아하고,
낯가림은 심하지 않지만, 소통의 자리는 불편하게 느껴지는 그런 성격.
▪️
✔ “완전한 내향성 또는 외향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사람은 정신병원에서나 볼 수 있다!” (p.64)
✔ “외향성과 내향성 사이를 영원히 왕복하면서 우리는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균형을 얻을 수 있다.” (p.73)
- 양향성이라는 개념도 참 흥미로웠다.
사실 우리는 모두 내향성과 외향성을 모두 갖고 있고,
이는 어느 쪽에 더 치우쳐 있느냐의 문제일 뿐이다.
상황에 따라 균형을 조절하며 살아가는 것이
결국 가장 이상적이라는 생각도 해봤다.
▪️
- 지금의 나는 ‘사회화된 내향인’이라고 생각한다.
어릴 땐 내성적이고 낯을 많이 가려서
왠지 모르게 무리에 끼지 못한 채 겉도는 일도 많았다.
반면, 외향적이고 어른들에게도 살갑게 대하던 사촌 언니는
늘 칭찬을 받았고, 그런 언니가 부럽기도 했다.
어쩌면 그때부터 '외향적인 사람이 더 좋은 성격'이라는 인식을
무의식적으로 가지게 된 것 같다.
지금도 내 성격에 100% 만족하는 건 아니지만,
외향적인 사람에게는 없는 장점이 나에게도 분명히 있다고 믿으며 지내고 있다.
▪️
- 이 책은 모든 성격 유형의 사람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건네는 책이다.
그리고 나와 다른 성향을 지닌 사람들을 이해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된다.
혹시 내향적인 성격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면,
이 책에서 제안하는 '사회적 배터리 관리법'을 참고해 보며
자신에게 맞는 삶의 리듬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내향적인 성격 때문에 자책하거나 불편함을 느껴본 사람.
자신이나 타인의 성격을 더 잘 이해하고 싶은 사람.
내향형 성향이 강한 성격을 갖고 있는 사람에게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