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에디션 코린이를 위한 코인의 모든 것 - 한 권으로 끝내는 암호화폐 투자가이드 MK에디션
매경이코노미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6월
평점 :
품절


화폐는 상품의 가치를 표시하기 위해서이다. 화폐의 가치는 조개껍질, 소금, , 종이 등으로 가치를 기록했다. 화폐는 서로 간에 가치를 존중해주는 수단이다. 제도권에서 통제하는 금본위 화폐에서는 중앙은행이 발권을 가지고 있다. 종이에 인쇄하여 가치를 정하여 통용시키고 있다.

 

암호화폐는 일명 가상화폐이다. 가상화폐도 가치를 서로 인정해주면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도권에서 통제하는 통화가 아니고 블록체인의 기법에 의한 개인 간의 거래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다. 기존 금융 거래 기록은 금융기관이 보존하고 기록했다면 가상화폐는 블록체인에서 해당 거래를 증명해준다. 제도권의 규제를 받지 않는 암호화폐는 굉장히 위험한 자신이다. 위험이 클수록 이윤이 클 수도 있고, 아니면 손실을 크게 볼 수 있는 가상자산이다.

 

지금까지 채굴된 전체 코인은 약 9,000개를 넘어서고 있으면 계속하여 새로운 코인이 채굴되고 있다. 이 많은 코인이 몇 개나 살아남아서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세계적인 기축통화는 달러가 기준이다.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는 것이 비트코인이다. 가상화폐 등락의 지표가 황제코인인 비트코인이 기축통화의 역할을 하고 있다. 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 코인을 알트코인으로 일명 신하코인이라고 한다.

 

암호화폐는 제도권에서 보호하지 않는 화폐로 등락 폭이 너무 크다. 지금의 코인은 폭락 장이다. 그러나 암호화폐 시장에는 늘 조정이 따른다. 이번 조정이 일상적인 건강한 조정인지 아니면 화폐로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는지는 시간이 지나면 알 수 있다. 가상화폐가 가치로서 인정을 받는다면 제도권 편입은 시간문제이다. 개인 간에 통용되는 가치가 제도권에 편입되지 못하면 통화가 제도권에서 통제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 간의 거래에서 통제가 될 수 있다. 결국에는 제도권으로 편입시켜서 가상화폐를 통제하려고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