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행복한 무소유 - 법정스님 무소유에서 깨달은 행복과 자유
정찬주 지음, 정윤경 그림, 유동영 사진 / 정민미디어 / 2021년 3월
평점 :
무소유란 무엇일까?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다.’라는 의미일까? 사람이 살아가는 데는 필요한 물건이 많다. 무소유의 삶은 현대인이 생활하는데 너무 빡빡한 삶이 된다. 무소유란 ‘아무것도 갖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것을 갖지 말라는 것이 무소유이다.’ 명쾌하게 무소유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 것 같다. 이제는 불필요한 물건이 내 주변에 없도록 하여 물건의 노예가 되지 말아야 한다.
무소유가 뜻한 바는 베푸는 것이 아니라 나누는 것이다. 베푼다는 것은 소유하는 것을 주는 행위이고, 나눈다는 것은 되돌려 주는 것이다.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부하는 행위가 내 것을 베푸는 것이 아니라 모든 소유물을 서로가 나누는 행위이다. 무소유가 ‘공(空)’은 아니지만 ‘나’라는 실체는 허상이므로 ‘내’가 없는데 하물며 ‘내 것’이란 것도 없다. ‘내 것’도 없다는 삶은 세상의 욕심을 버리게 하여 하늘과 땅을 벗 삼아 하루를 보내게 한다.
많은 욕심은 버렸지만, 아름다움에 대한 욕심은 버리지 못했다. 아무것도 집착하지 않는 것이 무소유의 삶이지만 아름다움에 대한 욕심은 아직도 세상을 아름답게 하지 못했다는 집착일까? 수행자에게 마(魔)는 바늘구멍만큼의 빈틈도 주지 않고 파고든다. 수행자에게 아름다움은 수행에 방해가 될 수 있지만, 세상 사람들에게 아름다움은 평화로운 삶을 영위하게 할 수 있다.
보수와 진보를 나누려는 자는 보수와 진보를 구분하여 이득을 보려는 자이다. 차인과 다인을 구분하여 부르는 것은 일반인가 다르다는 것을 은연중에 과시하고 있다. 차는 그저 마시는 차일 뿐이다. 고가의 난을 볼 때마다 난은 그저 난이고 풀이다. 난의 돌연변이 좋아하면서 난의 평범한 삶은 싫어하는 것일까? 오늘도 해가 뜨고 지는 하루가 시작되니 소소한 일에 행복을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