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H 전문가 그룹 최면상담 사례집 - 무의식 리-프로그래밍
한국 현대최면 마스터 스쿨 지음 / 렛츠북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면이란 암시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잠재의식을 표출시키는 것이다. 잠재의식은 감정, 이미지, 습관 등으로 나의 성격을 형성시켜 무의식적으로 행동을 하게 한다우리의 생활 속에서 인간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작게는 가족에게서 크게는 직장이나 각종 일 속에서 인간관계를 맺고 있다. 인간관계가 원활하지 못할 경우 각종 감정이 쌓이게 된다. 그때그때 쌓이는 감정을 털어 버리지 못하면 무의식 속에서 저장이 된다. 무의식 속에 저장된 감정들이 사회생활 속에서 자신도 모르게 나오게 된다. 이러한 것이 원만한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 저해 원인이 된다.

 


무의식에 쌓여 있는 감정들이 단순하면 쌓인 감정들을 정화하기 쉽다. 그러지만 복합적인 감정들이 얽힌 경우 풀어내는 과정도 복잡할 것이다. 단순하든 복잡하든 문제는 내부의 감정들을 어떻게 대하는지 중요하다. 우리의 삶은 수많은 선택의 연속 과정이다. 어느 한쪽을 고집하면 고집한 만큼 그대로 되지 않았을 때 괴로움이 더 생긴다. 우리 삶의 본질을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은 여여한 생각이 중요하다. 이런 것도 삶에 있어서 좋은 점이고 저런 것도 삶에 있어 좋은 점이므로 항상 긍정적인 마음을 가지는 여유가 필요하다.

 


최면을 통하여 마음의 안정을 찾는 사람들은 내면에 있는 감정적인 충돌이나 장애물들을 제거해 주면 일상생활을 즐겁게 한다. 내면에 있는 감정인 무의식은 우리가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우리는 안이비설신의의 6식을 가지고 살아간다. 6식 이외 다른 의식인 무의식을 제7식으로 생각하고 제7식은 어떻게 이성적인 접근을 할 수 있을까? 우리는 일상생활이나 행동에 앞서 한 번 정도는 생각할 수 있는 쉴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