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의 뇌과학 - 이중언어자의 뇌로 보는 언어의 비밀 ㅣ 쓸모 있는 뇌과학
알베르트 코스타 지음, 김유경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8월
평점 :
우리나라에서 영어 공부하는데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나 투자에 비해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영어 공부에 사교육비가 집중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우리가 영어에 많은 시간과 자본을 투자하는데도 영어를 잘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일까?그 이유는 어순이 우리와 다르기 때문이다. 어순이 다르다는 것은 생각의 순서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중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어순이 다른 언어를 일상생활 언어처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까? 이중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언어를 문자로도 알아야 하지만 소리로도 알아야 한다. 문자에도 익숙해야 하지만 소리에도 익숙해져야 한다. 문자에 익숙해지기는 쉽지만, 소리로 익숙해질 수 있는 사회적인 상호 작용이 되지 않는다. 이중 언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상호 작용이 외국어 학습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꾸준한 반복 연습만이 외국어를 배우는 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중 언어를 사용하면 뇌에 영향을 준다. 뇌 가소성 덕분에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이면 뉴런 간에 새로운 연결망이 생기기 때문이다. 뇌 가소성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가장 좋은 학습 방법은 외국어를 공부하는 것이 좋다. 어순이 다르기 때문에 생각의 순서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생각이 다르다고 하는 것은 하나의 사물을 두고 보는 시각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모양을 유추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 사회에서는 다양성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생각은 다르다고 해도 우리 사회가 공동 발전을 하고자 하는 목표는 동일하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AI)으로 자동화되어 모든 사물 간에 네트워크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공지능이 사람의 감성을 가지는데 분명히 한계가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의 기반은 빅데이터로 싸인 자료이다. 많은 정보가 다양하고 많을수록 인공지능의 기능은 향상될 것이다. 만약에 인공지능에 감정 언어와 실용 언어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축적한다면 인공지능도 감정을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상상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