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퍼드식 최고의 피로회복법
야마다 도모오 지음, 조해선 옮김 / 비타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로는 우리 곁에 항상 따라다닌다. 운동이든 공부든 어떤 일이든 피로가 쌓이면 제 실력을 발휘할 수 없다. 피로는 예방이 최선이겠지만 예방이 어려운 경우 빠르게 피로 해소하는 것이 좋다. 피로 회소소를 위해서는 기본적인 피로 해소법을 알고 실천해야 한다. 우리가 명심해야 할 점은 기초지식이 뒷받침되지 않은 실천은 위험하다 

피로란 신경과 몸의 연계가 무너져서 생기는 현상이다. 피로는 단순히 근육이나 관절만의 문제가 아니다. 피로에 강한 몸을 만들기 위해서는 뇌과학, 호흡, 영양학의 최신의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이 책의 구성은 피로 발생의 원리, IAP 호흡법, 몸과 뇌를 최고의 상태로 바꾸는 법, 식사법, 바른 자세와 마인드 셋 등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로 발생의 메커니즘

피로는 근육과 신경을 과하게 사용하고, 나머지 신체 기능에 문제가 생긴 비정상적이 상태를 말한다. 자율신경과 중추신경의 균형이 맞지 않아 건강 상태가 악화하고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서 몸의 자세가 틀어지면서 피로의 원인이 된다 

IAP 호흡법

호흡법에는 흉식호흡, 복식호흡, 복압호흡법이 있다. IAP 호흡이란 복부 내부압력(복압)을 말한다. IAP 호흡법은 폐에 많은 양의 공기가 들어가면서 복강 위에 있는 횡격막이 내려가고, 복강 내부압력이 높아지면서 바깥쪽을 향에 미는 힘이 작용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복식호흡은 숨을 내쉴 때 배가 들어가고, 복압 호흡은 숨을 내쉴 때도 배를 부풀려 압력을 유지해야 한다. 복부 내부압력이 높아지면 몸의 중심이 안정되고,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의 연결이 원활해져 신체에 불필요한 부담이 줄어든다. 

몸과 뇌를 최고의 상태로 바꾸는 법

신체의 균형을 바로잡는 초기화 준비 동작인 전 진형 스킵제자리 스킬, 무게중심 점프, 발뒤꿈치로 엉덩이 치며 달리기와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초기화 마무리 동작햄스티링 풀어주기, 무릎 굽혀 팔 멀리 뻗기가 있다. 좌식 피로에 효과적인 세 가지 다리 운동은 주먹 압박하기, 무릎 압박하기, 발뒤꿈치발끝 운동이다. 어깨 결림을 해소하는 어깨뼈 돌리기 운동과 단단하게 굳은 눈의 근막을 풀어 눈의 피로를 해소하는 것이다. 몸의 자연치유력을 끌어올리는 ‘48시간 냉온요법이 있다.

 

바른 자세와 마인드 셋

우리의 몸은 ×를 이룰 때 가장 좋다. 인간의 골격과 근육은 기본적으로 좌우대칭을 이룬다. ×자 형태가 무너지면 특정 근육에 긴장이 발생하고 부담이 가서 피로가 쌓인다. 귀와 어깨를 연결한 선이 바닥과 수직이 되도록 유지하여야 한다. 피곤하지 않게 서는 법은 귀와 어깨를 연결한 선이 일직선이 되고 어깨뼈(견갑골)를 가운데로 좁히고 턱을 똑바로 드는 자세이다. 피곤하지 않게 걷는 법은 발뒤꿈치 발바닥 바깥 발가락 끝(엄지발가락 방향)의 순서로 지면을 밟고 걷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