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이야기 1 김명호 중국인 이야기 1
김명호 지음 / 한길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중문학을 전공했고, 수년간 중국현지를 체류했으며 아직도 중국과는 뗄수 없는 인연 아닌 인연을 가지고 있다.

특히 중국 체류 시절에는 중국사람들과 직접 부딪치며 생활해본 귀중한 경험도 가지고 있다. 특히 도시 상류층은 물론이고 농촌의 농민들에 이르기까지 그들과 직접 집에 초대를 받아 식사를 하고 술을 마시고하면서 많은 이야기들을 나누곤 했다. 특히 그들은 연령이 지긋한 층에서는 아직도 모택동 즉, 마오쩌뚱에 대한 아련한 추억같은 것을 가지고들 있었다. ‘마오주시즉 모주석 모주석하면서 그 당시 일들이나 그 당시가 어린시절였던 청년시절이였던 사람들조차도 나름의 추억들을 이야기하는 것을 보고 적잖이 놀란 기억이 있다. 아마 우리 대한민국의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추억같은것과 비슷하다고나 할까..

 

한길사에서 나온 김명호 교수의 [중국인이야기1]은 중국근현대의 다양한 인물과 배경들이 등장하고 그 다양한 群像들의 이야기가 마치 영화속의 한 장면처럼 술회되고 있다.

 

작가가 서문에서 밝힌바와 같이 20여년간 수많은 이야기들 들려준 중국의 문화노인들이 입에서 또 추억에서 나온 이야기를 바탕으로 이 책이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중국인의 이야기라고 하면 공자부터 시작해서 맹자, 장자 그리고 우리가 잘아는 진시황, 그리고 유방과 항우, 제갈공명과 조조, 그리고 사기의 저자 사마천, 당대 시인 이태백 등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고대 인물들을 중심으로 한 이야기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면 이 책에서 다루는 중국인이야기는 모택동 즉 마오쩌뚱과 장개석 즉 짱제스 두 공산당, 국민당 두 최고의 인물을 중심으로 그들과 이런 저런 인연으로 얽혀 있는 다양한 인물들의 사랑과 성공 그리고 좌절, 실패, 죽음 등 인생만사가 영화속의 한 장면처럼 드라마틱하게 전개된다.

 

구성 자체가 하나의 인물들 이야기를 중심으로 타 역사서에서는 볼 수 없는 자잘한 사생활부터 큰 사건까지가 시대순이 아닌 인물을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중국인이야기와는 다른 새로운 재미를 가져다 주고 있다.

 

마오쩌뚱과 함께 최고 실력자였던 류샤오치의 몰락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과정, 그를 넘어서 새롭게 2인자로 등극하게되는 한반의 외로운 학처럼 혼자왔다 혼자 가는 것이 나의 소원이라는 린뱌오. 문화대혁명기간 고문물 1,200여점을 점탈한 모략가 캉성, 국민당수 쟝제스를 일개 군벌이라며 따귀를 후려치려고 했던 20세기 중국을 대표하는 학자 류원덴. 파리 교외의 두부공장에서 혁명의 주역들을 탄생하는 계기를 만든 리스쩡, 민주는 실천이며 실천을 통해 배우는 것이 가장 쉽고 바람직하다고 했던 잊혀진 사상가 정선푸..가슴에 대나무 한그루씩을 심자던 추안핑, 사상의 차이로 원수가 될 뻔한 국민당당수 쟝제스와 아들 쟝징궈까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정지척 인물들 이야기는 한편의 드라마와 같다.

 

선비는 자신을 알아 주는 사람을 위해 일한다는 것을 굳게 믿고 등잔에 기름이 다하고 심지가 말랐다며 자결을 하는 천부레이, 쟝제스의 두 번째부인 첸제루와 마오쩌뚱의 첫 번째 부인 허쯔전 그녀들의 고달프고 외로운 일생은 독자로 하여금 안타까움을 불러일으킨다. 아버지 생전에 특권을 누린적이 없고 사후에도 물려받을 유산도 없었던 마오쩌뚱위 두딸들 이야기, 난징과 상하이를 오가는 시절 궁펑과 차오관화의 사랑과 이별, 끝없이 장춘차오를 기다려준 원징...

조선계 일류배우 진옌과 왕런메이의 사랑과 이별, 목수출신에서 교수가 된 치바이스 그리고 그를 일류화가로 지원해준 쉬베이홍. 상하이황제 두웨성 그리고 우리가 마지막황제로 기억하는 부이 그리고 두 아내 완룽과 원슈..

부이의 마지막 황제로서의 이야기는 마치 영화처럼 기억나서 그 옛날 보았던 마지막황제 영화를 다시 보고 싶도록 추억하는 영화같은 이야기로 그려지고 있다.

 

이 책은 특징은 수많은 중근현대 인물들을 통해 그들의 사랑과 성공, 좌절, 애증 그리고 몰락, 죽음을 통해 인간만사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그리고 있으며 특히 저자가 많은 중국인들에게서 직접 들어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여서 생생하고 더 드라마틱하며 마치 각 챕터 인물들의 이야기는 한편의 영화를 보는듯한 느낌이다.

만약 역사적인 사실이나 사건을 기대하는 독자에게는 별 매력이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중국인 특히 근현대의 유명한 인사들의 이야기들을 통해 다른 역사서들에서는 볼 수 없는 그들의 개인사와 함께 당시 혼란한 중국 정세와 세계 정세와 얽힌 이야기들 나이 지긋한 중국 노인분들에게 들어본다는 점에서는 이만한 저작은 없을 듯 싶다.

난 이 책을 보는 내내 할아버지한테 직접 옛이야기를 들어보는 느낌을 갖었다. 역사서에는 절대 나오지 않는 秘史 같은 것을 들어내는 기분, 그리고 수편의 영화를 보고난 느낌.. 특히 그 기라성같았던 인물들의 좌절과 성공, 사랑과 이별 그리고 죽음을 통해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할 기회를 갖을 수 있었다.

여운과 울림이 있는 책이였다..

역사를 호령하던 그들은 지금 다 어디에 있는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