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가 되는 뉴스 독해 - 십 대가 알아야 할 신문 속 비문학 지식
뉴스쿨 지음 / 길벗스쿨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속에 있는 여러 주제들을 살펴보면 가장 큰 특징은 평소 아이들과 한 번씩 주고 받았던 내용들이다. 그리고 사실 주제일기로도 비슷하게 내어줬던 글과, 6학년 1학기 국어 수업 시간에 자신의 주장을 근거와 함께 쓰는 시간에도 사용했던 주제가 있었다. 


다만, 이 책의 특징은 상반된 주장에 대한 내용을 읽고, 자신의 생각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생각을 키울 수 있는 게 기억에 남는다. 


주제는 얼마든지 정할 수 있지만,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게 정말고 공부가 되는 뉴스나 사회적 이슈를 제공하여 생각을 나누고,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과정을 통해 한 단게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교과와 연계해서 활용하거나, 생각 일기로 많이 활용한만큼 이 책을 통해 아이들과 수업 시간에 많은 이야기를 나눈 게 가장 의미있다고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실에서 바로 쓰는 퀴즈×평가 플랫폼 : 과정 중심 평가를 위한 에듀테크 활용 전략서 - ChatGPT / 블루킷 / ZEPQuiz / 밤부즐 / 카훗 / 라포라포 / 띵커벨퀴즈 / GPSQuiz / 클리포 / 하이러닝
박정수.전병호 지음 / 앤써북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로나 이후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 환경이 익숙해지면서 지필로 이루어지는 학습 내용 확인 및 평가의 흐름이 다양한 온라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여전히 수행평가 또는 교사들 재량으로 실시하는 단원평가의 경우는 지필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나, 수업 속 학생들의 학습목표 도달 정도를 알아보거나, 복습 및 단원 정리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온라인 도구들이 넘쳐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주로 사용했었던 카훗, 띵커벨, 젭 퀴즈 활용에 있어 다양한 수업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과목의 특성과 연관지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게 되었다. 이 외에도 블루킷은 게임적 요소가 더해져서 학생들에게 더 흥미롭게 다가갈 수 있는 요소가 가미된 플랫폼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되었다.


당장 주말동안 몇 가지 플랫폼을 면밀히 탐색하고 수업에 적용해보고 싶은 마음이 들게끔 책에서 각 플랫폼에 대한 소개가 자세히 잘 되어 있고, 사례를 바탕으로 적용해볼 수 있도록 안내가 된 것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교육환경이 변화하면서 교사들의 대응방식도 바뀌어야 하는 것에 공감하며, 이런 플랫폼들이 자칫 흥미 위주의 활동으로만 치우치지 않도록 잘 활용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19 경성 소년 우주나무 이야기숲 2
설흔 지음, 최아영 그림 / 우주나무 / 202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 구, 윤봉길, 안창호, 안중근, 유관순, 이봉창 등 이름만 들어도 알만한 독립운동가들이 많지만, 실제로는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고 독립운동을 했던 분들이 훨씬 더 많다.


그리고 독립운동을 하셨던 분들은 대부분 생을 일찍 마감하였다고 알고 있다.

이 분들의 업적을 나열하기에는 쉽지 않지만, 그 중 강우규 독립운동가는 1910년 당시 50살이었으며, 조선총독부의 사이코 마코토를 암살하기 위해 폭탄을 투하했으나 실패하였다. 60세 가까운 노인으로서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일제에 맞서 싸우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이다.  


당시 일제의 탄압에 대항하여 맞서 싸울 수 있었던 분들이 계셨기에 현재의 우리가 존재하는 것에 감사하게 생각하며, 과연 내가 이 시대에 살고 있었다면 과연 목숨을 걸고 대항하여 독립운동을 펼칠 수 있었을까 생각하며 다시 한 번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표하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요즘 교사를 위한 AI 디지털 수업 설계 가이드 with 2022 개정 교육과정 -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디지털 기반 아날로그 수업 요즘 교사
김진관 외 지음 / 한빛미디어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 교육과정, 디지털 기반 수업 모형,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

요즘 교육에서 늘 중요시되고 회자되고 있는 용어이다. 

정작 일상적인 수업을 하고, 학급을 운영하는 교사들도 다 들어봄직한 용어이지만 정작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는 없는 현실이고, 각 지역교육청에서 무수하게 많은 연수들이 운영되고 있지만 실질적인 사례와 활용법을 자세히 알고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책을 보면서 모든 디지털 도구를 수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학급에 맞게 선택적으로 활용을 잘 할 수만 있다면 이 책은 엄청난 도움이 된다는 느낌이 든다. 주지 교과별 디지털 기반 수업 적용 사례를 통해 수업 제재를 달리하더라도 충분히 교실에서 적용이 가능함을 알게 되었고, 인공지능 기반 수업 활용 사례를 통해 변화하는 교육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책이라 생각이 든다. 


전자칠판, 1인 1 스마트기기 도입으로 인해 교실에서 디지털 기반 수업이 불가피하다면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수업에 적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발전과 교사로서 전문성을 끌어올리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뭐든 과장하는 마을
셰르민 야샤르 지음, 메르트 튀겐 그림, 김지율 옮김 / 아름다운사람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에 빨랫줄에 아이 3명이 걸려 있는 모습을 보고 왜 그렇게 되어 있을까 의문이 들었다. 

분명 무게 있는 아이3명이라 빨랫줄에 힘이 실려 있지 않은 모습을 보고 아이들의 무게는 상관없이 널려 있는 모습이 과장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생각했다.


세상은 정상인 생각과 행동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며, 가끔 비정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어울려 지낸다. 이 때, 과연 비정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이상하고 나쁘다고 생각해야 할까?


세상이 반대로 정상적인 사람 소수와 비정상적인 사람 다수로 구성되어 있다면 어떻게 될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책이다. 


정상이라 생각되는 사람이 지구상에 자신을 제외한 단 한 명만 존재한다고 했을 때, 과연 그 세상을 살아가는 주인공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까? 잘 살아갈 수 있을까?


작가가 우리 나라사람이 아니라 정서가 맞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래도 대부분이 정상이라 생각되는 세상이 아닌 반대의 세상 속에서 과연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