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터 앤 나이트 블랙 캣(Black Cat) 3
S. J. 로잔 지음, 김명렬 옮김 / 영림카디널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영림카디널의 블랙 캣 시리즈는 일단 해외 수상작만이 라인업에 들어갈 수 있는 자격을 얻기에 기본은 보장 다는게 장점이다.

또 수상작이라지만 작가들 대부분이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작가들인지라 마치 처음 먹어본 음식이 내 입맛에 너무나 맞았을때와 같은 기분을 느낄수 있는게 또 다른 장점이다.

덕분에 여러 시리즈들 중에 내가 사기도 가장 많이 사고 읽기도 가장 많이 읽은 시리즈가 되었다.

 

작가가 이 작품을 쓸 수 있었던 가장 큰 도구는 아마 미국인들의 스포츠를 향한 사랑일 것이다.

(굉장히 좋은 작품이지만 많은 한국 독자들은 작품 속 등장인물들의 행동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낄것이다. 

아마 스포츠에 대한 한국과 미국의 문화적 차이가 그 차이를 만들었다고 생각한다.)

몇 년 전 어딘가에읽었는데 미국 어딘가의 인구가 7~8 만에 불과한 소도시에 수용인원 10만이 넘는 풋볼 경기장이 있다고 한다.

시민 한 명도 빠짐없이 전부가 들어가도 차지 않는 규모의 경기장을 지은 이유는 순전히 외지로 나가 사는 그 도시 출신 인들을 위한 것이었다.

큰 경기가 있는 날이면 우리가 명절에 귀성길 오르듯이 타지역에서 고향으로 모여 남녀노소가 같이 응원하고 오랜만에 가족, 친구들을 만나는 것이다.

우리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가 없는 광경. 그런 광경이 실재하기에 이 소설이 쓰여졌고 그 광경을 상상하면 이 소설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스포츠 문화는 크게 우리와 다르지만, 이 소설의 또 다른 이면에는 우리와의 공통점도 존재하고 있다.

바로 요즘 자주 언론을 장식하는 학교 내 폭력, 왕따 문제이다.

아마 이 문제는 경중이 다를 뿐세계 모든 학교가 가지고 있는 문제일 것이다.

인종, 국적과 관계없이 인간이라는 존재가 그러한듯싶다.

그러나 최근 한국 학교 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을 보면 정도가 너무 심하다고 생각한다.

내가 학생일 때도 분명히 그런 문제들은 존재했지만, 그걸로 자살하는 친구가 나올 정도로 심각하지는 않았다.

내가 다니던 학교나 주변 어느 학교에서도 말이다.

아마 한국에 총기 소지의 자유가 있었다면 교내 총기 난사 사건이 이삼일에 한 번쯤은 뉴스를 장식하지 않았을까?

그럼 이 소설이 나오기 전에 국내 작가 누군가가 먼저 이런 소설을 써서 상을 받았을지도 모를 일이다.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