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획자의 노트 - 기획에서 보고서 작성, 프레젠테이션까지! 현장에서 바로 써먹는
이성재 지음 / 길벗 / 2018년 7월
평점 :
절판

물론 각각의 자리에서 본인의 맡은 바를
열심히 해야하는건 당연한 이야기지만,
마케터, 기획자 등등 어떤 업무를 진행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획자의 역할.
중요한 자리니만큼 업무요청자 또는 지시자와 실무자 간에
가지고 있는 생각들이나 능력치들을 고려하고
업무를 기획하고 분배해야한다.
그치만 기획자라는 위치가 아니더라도 우리 누구나 기획자가 된다.
나를 PR하는 자리라던가,
내가 가진 생각이나 의견을 보여주기 위한 때에도.
보통 정말 급하게 발표하지 않는 이상
종이나 그림요소가 섞인 PPT로 보여주게되는데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또는 설득시키기 위해 사진, 도표,
또는 질문거리등을 포함시켜 제작하지 않았는가.
아무생각없이 순차적으로 작업물을 진행시키진 않을터.

이번에 읽게된 책의 제목이 기획자의 노트라는 책으로
작가님은 우리가 잘 알고있는 브랜드인
11번가, LG전자, 비타500, SK이노베이션 등의
브랜드마케팅 기획을 담당했던 분으로
실전 기획비법을 공유하고자 책을 썼다고 한다.
경영학을 전공했지만, 졸업에 가까워지면서
여러 생각 끝에 마케팅 과목을 재밌게 수업들었던걸 생각하며
광고 기획자를 꿈꾸기도하고 사업가로도 꿈을 가졌다고 한다.
본 책(기획자의 노트)에서는 3부의 파트로 나누어
1부 - 성공적인 기획서 만드는 방법
2부 - 8단계 브리프를 적용한 실전사례
3부 - 실전 기획에 많이 쓰이는 20가지 핵심전략
위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부록을 소개하고 있다.
부록 - 잘된 기획을 살려내는 프리젠테이션 스킬

1부에서는 성공적인 기획서 만드는 법을 다루고 있다.

돌고 돌아도 결국 자신의 운명대로 간다.
작가님은 본인의 대학시절부터 첫 사회생활을
시작하기까지의 자신의 이야기를 서술했다,
책의 내용을 일부 인용하자면,
작가님이 본인의 이야기를 들려준 이유는
'지금 하고 있는 업무가 과연 내가하고 싶었던 일인가.
혹은 다른 길을 가야하는 것은 아닌가' 하며
고민하고 있는 동료 또는 선후배들에게 결국 운명은 결정되어 있고,
지금 그 운명을 향해가는 업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싶었다고 한다.

내가 쓴 기획서가 잘 쓴 기획서인지 그렇지 않은 기획서인지
확인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해요.
잘 쓴 기획서의 기준
1. 누가 읽어도 전략이 무엇인지 명쾌하게 알 수 있는 기획서
2. MECE 한다,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의 약자)
위키백과사전에서 인용한 문장으로 상호 배타적이면서
모였을 때는 완전히 전체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겹치지 않으면서 빠짐없이 나눈 것'을 의미
3. 내가 쓴 기획서가 저절로 외워진다.
4. 크리에이티브를 보고 어떤 기획서를 썼는지 예상이 가능하다.
5. 광고주의 비즈니스를 CEO의 관점에서 이해했다.
6. 타겟 규정이 독창적이다.
7. 소비자의 목소리에 대한 인사이트가 담겨있다.
8. 논리적이다.
그리고 브리프만 잘 써도
기획서의 반이 완성된 것이라고 말하고 있어요.
자신의 방향이 설정되면,
가장 먼저 브리프를 작성할 수 있어야하며,
이해하기 쉽게 그림과 도표를 추가하기도하고
논리적 근거 자료 등을 뒷받침하면 된다고 합니다.

1부 마지막 글에 8가지 브리프에 대해 설명한 내용이 있었고
2부에서는 8가지 브리프를 적용한
여러 브랜드 광고에 대한 소개글이 있었다.
야놀자, 동원참치, 비타500, LG전자 코드제로 무선청소기,
LG전자 OLED TV, LG전자 Curved OLED TV,
데싱디바, SK이노베이션 등 진행되었던 프로젝트에 대해
광고를 만들기 위해 어떠한 과정을 조사하였고
적용하였는지 서술되어있었다.
소비자의 관점, 판매자의 관점/ 광고주로써의 관점
광고하나 만들기 위해 도출과정들이 참 다양하고
브리프의 질문점을 가지고 다가가기.
기획자의 역할이란 정말 대단하다.

3부에서는 어떤 방향에서 접근할까에 대한 주제부터
생각까지 연결지어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었다.
그 중 아래와 같이 행동경제학을 연결지어
아이디어를 도출해내는 방법이다.

5가지 행동경제학 대표전법이라 함은
닻 내리기 전법 / 손실 회피 전법 / 넛지 전법 / 휴리스틱 전법
델타모먼트 전법 이렇게 소개하고 있었다.
광고 아이디어가 경제학과도 연결된다니
참으로 알면 알수록 매력있다.
기획자의 노트 이 책을 보다보면
광고 컷들을 나열해놓아서
만약 광고를 접하지 못했던 사람들이더라도
장면들을 통해서 작가님이 무슨말을 하고 계신지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구성해두었다.
나 역시 TV를 자주 보는 편은 아니라서
접했던 광고도 있고 아닌 것도 있었다.
시각적인 요소들이 중간중간 포함되어 있어
책을 읽을 때 지루할 틈이 없다.

추가로 부록이라는 파트를 마지막에 배치시켜
프리젠테이션 스킬에 대한 노하우까지
알려주시는 작가님 :D
1. 기획서의 앞뒤가 물려있어야 한다.
2. 위아래 순서가 아닌 내 말의 흐름대로 스토리텔링하라.
3. 순서를 정했다면, 장표를 보지 말고 외워라.
4. 외운 장표 중간에 어떤 접속사를 넣을지 생각하라.
자신감을 가져라!



에필로그부터 프롤로그까지 정말 군더더기 없이 필요한 설명만
서술해놓아 정말 지루할 틈이 없던 책.
나 역시 회사의 일원으로서 기획자와 함께 일하는 동료이지만
막상 기획자는 어떻게 기획을 할까라는 의문으로부터
이 책을 읽고 싶어서 읽어나간 책.
정말 기획자의 업무를 맡고있다면 도움이 되는 책인건 확실하고,
나처럼 기획자가 어떤 일을 하고 어떤 생각으로 일에 접근하는지
궁금했던 사람들도 새로운 상식들도 쌓을 수 있고
즐겁게 볼 수 있는 책.
내 관심사라 그런것일 수도 있지만,
올해 본 책 중에 정말 재미있게 봤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