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세계 영화사 - 보급판
제프리 노웰 스미스 책임편집, 이순호 외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제까지 국내에도 여러 영화사 관련 도서들이 출간되었지만,

항상 아쉬움이 남는 부분이 있었다.

영미권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의 경우,

번역자가 그 나라 언어에 무지한 상태에서 확인도 없이 영어식으로 번역을 하다보니

자잘한 오류들이 책의 값어치를 떨어뜨리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혹시 확인해보고 싶다면, 예컨대 독일 초기영화사 부분에서

Kammerspiel이 무엇이라 번역되었는가를 한번 쭉 찾아보라.

캄머슈피엘...대략 난감 황당 무계.

사실 이 단어의 뜻은 실내극 정도다.

영화사 초기에 연극, 그 중에서도 작은 규모의 실내극의 미학을 전유한 경우가 많기에

계속 언급이 되는 것인데, 한번 잘못 번역되고 나니 악순환이 거듭된다.

이런 자잘한 오류들이 이 책에서는 그래도 덜 발견된다. (번역자들의 노력에 박수를! ^^)

물론 오류가 종종 눈에 띄지만, 제발 부탁이니, 우리도 개정판을 만드는 출판윤리를 등한시하지 말자.

이 정도 책이라면 당연히 그래야 한다. (그만큼 이 책은 비중이 있다.)

그밖에도 이 책은 시각이 다양화되어 있고, 기획의 탄탄함을 저자들의 면모에서도 쉽게 느낄 수 있다.

다만 워낙 두껍다보니 가격이 비싸 감히 권하지 못했었는데,

이제 보급판이 새로 나왔다니 더욱 반갑다.

언젠가 날잡아 한달쯤 책에 파묻혀지내고 나면, 영화의 역사적 맥을 잡을 수 있을 것임을 확신한다.

그래서, 강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네마, 슬픈 대륙을 품다 - 세계화시대 라틴아메리카영화
임호준 지음 / 현실문화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언제부턴가 우리나라가 영화에 대해 한마디 할 수 있는 위치가 되었다.

그리고 다들 영화에 관해서라면 한마디쯤은 던질 수 있게 되었다.

설사 그것이 얕은 지식의 과잉포장일지라도..

하지만, 우리가 정말 영화를 아는가?

어느 틈에 흔해져버린 각종 영화제를 제외하고 우리가 영화관에서 볼 수 있는 영화란 그 얼마나 제한되어 있는가.

특히 헐리웃과 한 줌의 프랑스 영화를 제외하고 나면

정말이지 얼마나 많은 영화들을 우리는 놓치고 있는가.

더구나 그것이 라틴아메리카의 것이라면?

저자 임호준은 준비된 학자다. 이미 오래 전부터 라틴아메리카의 영화를 살피고 있었으며

그 분야로 학위를 한 극소수의 저자다. 어쩌면 우리의 유일한 알리바이일지도?

그런 그답게 이 책에서 다루는 영화들은 폭넓다. 시간적으로도 그렇고 공간적으로도 그러하며, 주제적으로도 그렇다.

그리고 글에서는 다독의 내공이 깊이있게 다가온다.

무르익어 나온 글이라는 것이 아마 이런 글이 아닌가 싶다.

책을 읽다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빠져있는 영화들이 참 많다는 생각도 든다.

그래서 아쉽다.

그래서 벌써부터 그의 다음책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레히트 희곡선집 2 - 갈릴레이의 생애, 사천의 선인 브레히트 희곡선집 2
베어톨트 브레히트 지음, 임한순 엮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저런 이유로 번역이 연구성과로 평가받지 못하는 세태가 자리잡아버린 우리나라에서

번역은 어느 틈에 '젊은이'들의 몫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임한순 교수의 번역은 오래 숙성된 연구자의 번역이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예가 아닐까 싶다.

단어 하나하나의 선택에 고민의 흔적이 묻어있고

한번에 해결되지 않았던 고민은 다시금 다듬어졌다.

그는 또한 우리말을 골라쓰는 데 있어서도 탁월하다.

외국어를 오래 배우다 한국어를 잃어버린 번역자들과는 사뭇 다르다.

이런 숙련성으로 브레히트의 희곡들에 한국어로도 생명력이 불어넣어졌다.

이런 장인들이 대접받을 수 있는 번역문화가 조금이라도 빨리 정착되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브레히트 희곡선집 1 - 서푼짜리 오페라 브레히트 희곡선집 1
임한순 엮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런저런 이유로 번역이 연구성과로 평가받지 못하는 세태가 자리잡아버린 우리나라에서

번여은 어느틈에 '젊은이'들의 몫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임한순의 번역은 오래 숙성된 연구자의 번역이 얼마나 아름다울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예가 아닐까 싶다.

단어 하나하나의 선택에 고민의 흔적이 묻어있고

한번에 해결되지 않았던 고민은 다시금 다듬어졌다.

그는 또한 우리말을 골라쓰는 데 있어서도 탁월하다.

외국어를 오래 배우다 한국어를 잃어버린 번역자들과는 사뭇 다르다.

이런 숙련성으로 브레히트의 희곡들에 한국어로도 생명력이 불어넣어졌다.

이런 장인들이 대접받을 수 있는 번역문화가 조금이라도 빨리 정착되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중영화와 현대사회
문재철 외 지음 / 소도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장르영화에 관한 읽을만한 글, 특히 교재로 쓸만한 국내필진의 글을 드디어 만나게 되었다.

필자마다 물론 다소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한마디로 참한 책이다.

조금만 더 논점의 통일성이 있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지만

이제까지 나온 영화장르론중에는 가장 돋보이지 않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