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 : 유저를 사로잡는 서비스 기획의 모든 것 - 기획자, PM, CEO를 위한 프로덕트 교과서
홍석희 지음 / 한빛미디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획부터 데이터까지

PM의 모든 것


PM직군은 '스페셜한 무기가 반드시 있어야하는건 아니지만(있으면 당연히 좋다), 반드시 프로젝트에 모든걸 이해하고 통솔 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단순히 데이터를 잘 보는 사람보다는, 1)유저리서치 2)데이터 모델링 3)UX에 대한 이해 4)데이터 드리븐 5)트렌드 파악을 할 줄 아는 사람이 더 PM에 알맞다

해당 책은 챕터마다 유저를 사로잡기 위해 처음부터 PM이 무엇을, 어떻게, 왜 하는지를 배울 수 있는 책이다.

다만, 데이터 부분은 전공자가 아니라면 추가로 학습이 필요하거나, 실무에선 도움을 받아 자료를 정리된 채로 협력부서에게 받고 거기서 인사이트(당연하지 않고, 놓칠 수 있는 생각들)을 잡아야한다.


트렌드 파악

PM의 도구


PM직군에 입사지원을 해본적이 있는가?

회의준비를 해보기도 하고, 분석능력을 평가하기도하며, 자주 등장하는것이 트렌드를 파악하는 능력이다.

트렌드 파악은 하루만에 하기 어렵다. 꾸준히 파악을 해야한다.

작가가 추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커뮤니티

PM관련 스터디가 아니여도 된다. GPT 활용법, IT뉴스 파악 등만 보더라도 배우는점이 있다. 또한 모임에 참석하다보면 나와 다른 직군 다른 환경에서 다른 경험을 자연스럽게 전해들어볼 수 있다는게 가장 큰 장점이다

2)뉴스레터

롱블랙

썸원 뉴스레터

롱블랙은 24시간내 읽지 않으면 뉴스가 사라진다. 즉, 일반적으로 뉴스레터는 구독할때는 트렌드 파악하겠다는 의지가 샘솟지만, 실제로 대부분은 '구독'만 하게 된다는것을 뜻한다.

구독 자체는 아무 의미가 없다. 읽고 인사이트를 뽑아야 한다.

3)테크행사

EO, GAMES ON AWS (필자도 참여해보았다) 와 같은 행사에선 교육 세션이 제공된다. 목차만 보더라도 어떤게 핫한지 파악 할 수 있고, 교육세션을 들으면 더 자세히 배울 수 있다.

4)사이트들

위에걸 평소에 하는게 좋다. 다만, 일선상의 이유로 당장 급하게 찾거나, 자료가 부족한 경우(스터디에서 말로 전해들었는데 자세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사이트들을 이용해보자

-서핏 : 최신 IT 글을 읽는 곳

-디스콰이엇 : IT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의견이 오가는 곳

실제로 제품을 비교 평가할때 기능적 평가를 하고, 추가로 디스콰이엇과 함께 유저들의 제품 평가를 추가해서 실무에서 설득을 경험해본 경험이 있다.

기업에서 트렌드 조사를 과제 혹은 입사 프로젝트로 내는 이유는 꾸준함 관심을 체크하기 위함이다. 평소에 운동을 꾸준히 해야하는것처럼, 꾸준한 관심을 통해 인사이트를 메모해두고 정리해야하한다.


"한빛미디어 <나는 리뷰어다> 활동을 위해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