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에 투자하라 - 코로나 팬데믹이 불러온 부의 대이동
가메이 고이치로 지음, 현승희 옮김 / 해피북스투유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 전부터 금테크에 관심을 갖고 금통장으로 꾸준히 투자를 해오고 있다. 하지만 전문적인 지식과 정보 없이 막연히 조금씩 사 모으는 것에 불과해 아쉬움을 느끼던 차였다. 마침 금 투자에 대해서 자세한 정보가 담긴 이 책을 읽게 되어 여간 반가운 것이 아니다. 정확한 배경과 이유도 모른 채 평소 금은 안전 자산이라는 막연한 인식이 있었다. 과연 금은 왜 안전 자산이 되는지 이 책의 설명을 들어보자. 

 안전 자산이라는 금, 과연?

개별 통화의 발행처는 중앙은행이지만 금은 발행처가 없는 ‘무국적통화’이다. 발행처가 없다는 것은 누군가의 책임, 즉 부채가 없어, 신용 리스크가 없는 안전 자산이라는 의미다. 실물 자산, 즉 물건이기 때문에 통화가치가 떨어지는 인플레이션에 강하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 생각하면 금리가 없어 금리 상승에 약하다. 달러 가치를 뒷받침하는 역할로 이용되기 때문에 달러 강약과 반대 시세로 움직인다. 이는 기축 통화인 미국 달러화 금리가 상승세를 타면 매도되기 쉽다.

인플레이션에 대비한 안전 자산의 특성을 지닌 금은 또 다른 위기인 디플레이션 경제에서는 어떨까. 물가가 상승하여 화폐 가치가 하락하는 인플레이션과 달리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계속하여 떨어진다. 이는 경제가 수축하는 경기 후퇴를 의미하기 때문에 금리를 인하하여 통화 공급을 끌어올리는 조치를 취한다. 이것은 금에도 강제로 작용되어 금 가격 상승 요인이 된다. 인플레이션에 강판 금은 디플레이션에도 강한 것이다.


v 리딩투데이 지원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