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을 따라 집으로 - 바다거북을 위해 마을을 변화시킨 어린이들 이야기, 2022 우수과학도서 선정
필리프 쿠스토.데버라 홉킨슨 지음, 메일로 소 그림, 장혜진 옮김 / 청어람미디어(청어람아이)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매년 아이들과 환경과 생태 관련 수업을 한다. 전에는 플라스틱 섬 이야기만 들어도 아이들은 무척 놀라워하고 심각하게 생각했다. 그런데 이제는 미세플라스틱, 전자쓰레기, 패스트패션 산업에 따른 옷 쓰레기까지 심각한 내용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달력을 보면 환경과 관련된 기념이 숫자가 꽤 많다. 지구의 날, 지구를 위한 한 시간의 날, 해양의 날, 물의 날 등등. 이러다 1년 365일이 모두 환경과 생태에 관련된 경각심을 갖는 날이 될 거 같다.
이렇게 많은 문제점을 알게되고 관련 기념일을 많이 알게 되며 아는건 좀 많아졌다. 하지만 늘 ‘어떻게?’와 ‘무엇을?’ 앞에서 막막해지고 허둥댄다. 아는 것만으로도 됐다고, 관심을 가지는 것만으로 세계시민의 태도를 갖췄다고 이야기하고 싶지만 그건 그냥 자기 위안일 뿐이다. 물론 모르는 것 보다는 아는게 좋다. 알면 적어도 몰라서 하던 행동은 조금 멈출 수 있다. 그런데 그러고나서도 삶의 방식이 변하지 않으면 죄책감만 커진다. 그러면서 ‘나 혼자 좀 조심한다고 뭐가 달라져.’ 하는 낭패감과 자기 합리화를 하곤 한다.
그런데 이 책 속의 아이들은 행동을 했다. 그 행동의 시작은 ‘지역 사회 활동’이라는 학급 프로젝트였다. 마침 바다거북이 사는 마을의 아이들이었으니까 이럴 수 있었다고 생각하겠지만 그 또한 이런 수업이 없었다면 아이들은 관심있게 살펴보고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계획을 세울 생각을 해보지 못했을 거다.
<트레버>라는 책이 떠올랐다.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라는 영화로 더 알려져 있는 책이다. 그 책에도 사회과 프로젝트 수업이 예상치 못한 아름다운 실천을 이끌어내어 아이가 세상의 변화를 경험한다.
이 책 속의 아이들이 계획을 세우고 실천한 과정과 결과는 결코 작은 성취가 아니다. 트레버 주인공의 성취도 그랬다. 그 시작은 미약했지만 창대한 결과를 가져온 예들이다. 하지만 창대한 결과를 만들지 않더라도 작은 성취감을 가져볼 기회를 가져본다면 그때부터 달력 속 기념일과 지식으로만 머물던 환경생태 문제는 삶으로 다가올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나니 가슴이 뛴다. 아이들에게 ‘우리 반 프로젝트 ~ 환경생태 문제, 지역 사회 활동’을 던져 놓고 찾기, 계획 세우기, 행동하기, 알리기, 돌아보기를 해보고 싶어진다. 작은 실천과 노력이 나와 아이들의 삶의 어떤 부분을 변하게 할지 기대가 된다.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그건 이 책이 준 선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