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생존 육아 - 스스로 하는 아이로 키우는
박란희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워킹맘 "


이름만으로 힘듬이 느껴진다.

아이엄마가 되고 아이를 두고 일을 해보지 않았을때는 절대 알수 없었을 그 노고

정확히 말하자면 나는 워킹맘을 실패했다.

아이가 어느정도는 자랐다고 생각하고  주위에 도와줄 어른들이 안계시기에 아이가 기관에 간 동안

일을 했을뿐인데 아이는 왠지 더 자주 아프고 체력이 약한 나는 나대로 힘들고

집안일과 바깥일이 어중간하게 더욱 더 많아져 버렸다.

그렇게 몇개월의 워킹맘 생활은 끝이 났다.

엄마가 되고 나니 더욱 느끼는 것이지만 이 나라 ,여자가 해야할일이 참으로 많다.

맞벌이도 해야하고 아이도 잘 키워야 한다.어느정도 가사일에 많이 참여한다지만 하지만 남자보다는 여자가 할일이 아직은 더욱 많다.

집안의 경제도 항시 신경써야하고 아이가 자라면 교육에도 엄마의 정보력은 크게 작용한다.

그렇다고 전업주부로 살면 아직도 집에서 노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강한것 같다.

집안일은 해도 해도 끝이 없는데 표시도 나지 않는다.

가끔은 나도 내가 팔자 편하게 노는 사람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하는것 보면 스스로의 정체성이 흔들릴때가 있다.


책을 지은 박란희 님은 기자이자 두 딸을 둔 엄마이다.

첫아이가 어릴때는 자신이 키우지 못하고 주말마다 부모님께 맡긴 아이를 볼수 없었다는 부분에 정말 놀랐다.

전문직을 가진 사람이 그 직업을 내려놓기는 참 힘들고 아깝다고 생각은 한다

그렇지만 내 스스로는 아이가 우선 이다 싶은거 보면 나는 절대 강한 워킹맘은 될수없을거라 생각이 들었다.

그러다가 전업맘이 되어 바라본 엄마라는 두 직업이 눈에 보인다

그것은 전업주부 vs 워킹맘 이다.

그것도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라는 목동에서의 학부모의 생활


아직 아이가 어려 학부모가 되려면 몇년은 남았지만 나는 늘 아이의 초등생활이 금방 다가올것이라는 걱정반 두려움반이 있다.

엄마들 틈에 끼여서 시간을 잘 보내는 부류는 스스로가 아니라고 생각을 하지만 그렇다고 엄마들에게 까칠한 인상으로 남아 겉돌기는 싫은데 많은 정보력 속에서 헤맬 자신을 생각하면 조금 걱정스럽긴 하다.

나의 교육관이 확고하다고 생각을 했지만 아이가 커갈수록 내 교육관이 흔들릴때가 많이 있고 절대 내 생각이 맞을때만 있던것은 아니었다.그렇기에 스스로도 초등엄마들의 정보력속에 흔들릴까봐 걱정이 되곤 했는데

책에서는 선배맘으로서 직접 경험한 초등엄마들의 모습들을 엿볼수 있어 무척 재미있었고 참고 할만한 내용이 많았다.

아이들의 친구관계나,워킹맘이 저지릴수 있는 실수같은 소소한 팁들은 저자가 경험한 일들과 듣고 본 내용이 밑바탕이 되어 더욱 진솔하게 느껴진다.

책은 초등입학을 앞두고 있는 부모나 아이를 두고 일을 해야만 하는 이땅의 많은 워킹맘 및 준비된 전업주부들이 읽어도 공감이 될만한 내용이 많이 있다 .


마지막으로 이렇게 스스로 힘들어 하며 때로는 그렇게 힘듬속에 내가 왜이렇게 살아가나 싶은 마음이 들때 마음에 확 와닿을 문구하나


"지금은 네가 가족을 위해 인생 전부를 희생하는것처럼 느껴지니 억울할수도 있을거야.하지만 세상은 참 공평하다.

한사람이 희생하는 그 시간만큼 언젠가는 상댇방도 희생하는 날이 오고 그게 쌓이면 신뢰가 되더라, 또 억울하다고 느껴질지도 모르는 그 시간들이 나중에는 반드시 도움될 날이 올거야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