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 생각쓰기
윌리엄 진서 지음, 이한중 옮김 / 돌베개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글쓰기에 대한 많은 책들을 접할때마다 실망을 거듭하곤 한다. 윌리엄 진서의 '글쓰기 생각쓰기'가 내겐 또 하나의 실망을 준것이 확실하다.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독자리뷰의 극찬때문이기도 했다. 독자리뷰를 100% 신뢰하지는 않지만, 그 이유는 독자 각각이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지만, 거의 80%이상 의 독자들이 극찬한 리뷰로 독자리뷰를 장식했다면, 독자로서 책을 선택하는데 있어 유혹을 뿌리치기란 그리 쉽지 않다. 더우기 책에 대한 욕심이 많은 나에게는 특히 그렇다.
윌리엄 진서(이후 저자로 쓰겠다)의 '글쓰기 생각하기'에 실망한 이유를 몇 가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는 '간소한 글이 좋은글이다'라고 말한다. 가능한 군더더기를 빼라고 강조한다. 나 또한 간결하면서도 함축된 의미를 잘 전달하는 '인간미와 온기'가 있는 글을 좋아한다. 이점에서는 저자와 같다. 그러나 정작 저자는 '군더더기' 빼는 방법을 기록해 놓고도, 처음부터 끝까지 군더더기가 너덜너덜하여, 1부 '좋은 글쓰기의 원칙'에서 기록했던 말들을 2부에서, 3부에서, 4부에서 곳곳에서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정말 내가 이 책을 다 읽은 것은 지극한 인내심 때문이었다. 토할것 같은 역겨움을 느끼면서도 버텼던 것은 저자가 얼마나 자신이 말한 내용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 했는지도 모른다.
둘째, 저자는 '참신한 내용'의 글을 쓰라고 말한다. 그러나 정작 저자의 책은 1부까지만 나를 간신히 이끌고 나갔다. 어쩌면 이끌고 갔다기보다는 내가 인내로 버티었다가 더 솔직한 말일것이다. 참신한 글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었다. 저자가 말한 내용들은 이미, '글쓰기'와 관련될 책들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말들이 대부분이었다. 1부까지는 그나마 인내할 수 있다. 그러나 3부부터 끝부분까지, 저자는 1부와 2부에서 자신이 했던 말들을 다시 언급하는 그 '군더더기 빼기'의 실천을 어기고 또 어기어, 자신의 책 '한권에서'조차 참신한 내용을 유지하지 못하고, 심지어는 5페이지도 넘기지 못해, 똑같은 말을 반복하곤 한다. 물론 다는 아니지만 거의 그렇다.
셋째, '인용문'이 글을 편하게 읽게 만든다고 말한다. 나도 예전에 다른 책들을 읽을 때, 인용문이 직접화법으로 그려질 때, 책 읽는 속도감이 빨라 독서의 즐거움을 맛보았던 적이 있다. 그래서 저자의 말에 동의했다. 그러나, 저자는 너무 많은 인용문을 인용하였을뿐만 아니라, 그 인용문 또한 너무 길고 장황하다. 나는 저자를 통하여, 너무 많은 인용문과 긴인용문이 독자를 얼마나 지겹고, 이를갈며 인내하게 하는지의 잘못된 표본을 알게 되었다. 나는 어느 순간부터(거의 3장부터는) 건너뛰며 40쪽씩을 슬렁슬렁 읽었다. 그러면서, "이게 뭐야? 참신하지도 그렇다고 간결하지도, 그렇다고 명확하지도 않네..."라고 중얼거리며, 의자에 붙여야 하는 엉덩이를 들썩들썩 거리며 이를 득득 갈았다.
넷째, 도입부는 독자를 끌어들이는 관문이라고 했으며, 기억을 간직하는 글쓰기를 하자고 했다. 하지만, 나는 이글은 두번다시 기억하고 싶지 않다. 아니, 기억하려면, 나는 이렇게 지루하고, 군더더기가 슬금슬금 장마다 기어오르는 그런 글을 쓰지 않겠다는 표본으로 삼는데 좋다는 생각이 솔직한 심정이다.
이 책은 글을 잘도 술술 읽어나가는 나한테 정말 힘든 책이었다. 책은 읽기 편해야 한다. 그것 또한 작가의 능력이다. 같은 글 쓰기를 이야기하지만, 이보다 훨씬 잘 읽히면서도 가슴을 찡하게 울리는 책들이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대조적으로 떠올랐던 책은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였다. 물론 로널드 B. 토비아스의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가지 플롯", 그리고 논문 잘 쓰는 방법을 통하여 '글쓰기'가 무엇인지를 보여준 움베르토 에코의 "논문잘쓰는 방법"이 오히려 윌리엄 진서의 "글쓰기 생각쓰기"보다 더 잘된 글이라 생각하여, 모두 추천하고 싶다. 물론 독자들의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말이다.
그러나 로널드 B. 토비아스의 '플롯'에 대한 글 또한 목차와 1장만 자세히 읽으면 2장부터는 크게 참신함이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쓰기를 위해 '플롯'에 대한 중요성을 잘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스티븐 킹의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강조하는 것은 '플롯'이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이 각각의 책들은 반대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지만, 공통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나는 두 저자의 말에 동의하면서 읽었다. 두 의견이 다르지만, 공감이 갔던 이유는 뭘까? 이 두 저자는 설득력 있게 독자로서 나를 잘 이끌어가는 글쓰기의 기본이 되어있었던 것이다.
또한 움베르토 에코는 "논문" 쓰는 법을 통하여 글쓰는 방법(원고 작성법)을 제시하는데, 이는 윌리엄 진서의 "군더더기 빼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움베르토 에코는 참으로 맛갈스럽게 글을 구사하고 있다. 논문작성원고에 대한 설명을 마치 소설처럼, 그러나 윌리엄진서는 논픽션의 글쓰기에 대한 설명을 마치 자신도 이해하지 못하는 논문작성법을 설명하듯 독자들을 지리하게 끌고다닌다.
윌리엄 진서는 스티븐 킹과 로널드 B. 토비아스, 그리고 움베르토 에코의 주장과 동일한 주장을 하는데, 일명 우리가 속어처럼 쓰는 말, 한마디로 말해, "남들이 다 쉽게 하는 말을 정말로 어렵게 하네."였다. 그래서 더욱이 공감이 가지 않았다. 논픽션의 글이 픽션과 다를바 없는 것은 '진실'이라는 것을 이들은 말한다. 모두 공통적으로. 또한 "작가들은 자신이 글을 쓸때 그 글에 대한 열정이 있어야 하며, 즐겁고 행복해야만 독자들도 그 글에 빠진다"는 말을 공통적으로 한다. 이 세 작가중 가장 이를 잘 실천한 작가는 당연 스티븐 킹이며, 두번째는 로널드 B. 토비아스, 그리고... 윌리엄 진서는 아니다.
이것은 논픽션과 픽션의 문제가 아니다. 윌리엄 진서는 자신이 작가가 된 이유에 대해 언급하는 부분에서도 정말 지리할 정도로 반복적으로 온갖 군더더기 많은 문장들로 장사진을 이루며, 몇장에 걸쳐 반복적으로 이말을 한다 "나는 처음부터 작가가 되려고 했던 것은 아니다. 나는 기자가 되고자 했다., "나는 어릴적부터 작가가 되리라고는 생각도 해본 적이 없다." 그러나, 스티븐 킹은 재미있고 맛갈스럽게, 작가가 되게 된 사건에 대해 명확한 단어와 속도감 있는 어휘와 문장들로, 독자들을 유혹한다. 당연 그의 글의 제목처럼 "유혹하는 글쓰기'이다.
물론 스티븐 킹의 글도, 글쓰기에 대해 명확하게 규정짓는 것은 없다. 다만 그는 일관성 있게 끝까지 자기의 주장을 관철한다. "많이 읽고 많이 써!"라고 그리고 "군더더기를 빼!"라고" 말한다. 그리고 실천한다. 군더더기 없는 문장의 글로 말이다. 그래서 속도감 있게 빨려 들어간다. 그리고 맛갈스럽게 말한다. 논픽션도 독자들을 유혹적으로 이끌어가는 맛갈스런 글들을 나는 종종 만난다. 그러기에 논픽션과 픽션의 문제가 아니라, 작가의 능력이라 생각한다. 스티븐 킹은 바로 내 아이가, 내 누이가, 내 엄마가.... 귓속말로 속삭이듯 독자를 유혹하는 작가임에 틀림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