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차이나 마켓코드 - 하나의 나라, 천개의 시장
박영만 지음 / 미래의창 / 2013년 10월
평점 :
품절
마케팅, 기업전략을 배우게 되면 반드시 나오는 내용이 바로 시장 조사이다. 마케팅, 기업전략은 해당 기업의 수익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 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익을 창출하게 해주는 대상인 소비자와 시장에 대한 조사는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필수 절차이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기업,사람들이 이것을 간과하거나 제대로 하지 못해서 그 이후에 큰 손해를 겪는 경우가 발생한다.
국내에서도 많은 퇴직자들이 먹는 것과 관련해서 창업을 했다가 망하는데 그 이유를 들어보면 시장 조사 및 판매할 제품에 대해서 철저하게 준비하지 못해서라고 한다. 이렇게 서로 말이 통하고 자료들이 한글로 나와있는 국내에서도 상황이 이러한데 다른 해외에서는 오죽 하겠는가
한국의 바로 옆에 위치해있지만 한국에 비해서 너무나도 큰 대륙과 인구를 가진 중국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의 지역감정 정도는 가볍게 뛰어넘어 사용하는 언어, 민족이 다르기 까지 하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열풍이 불때 많은 사람들이 섣부르게 중국으로 진출했기 때문에 이중에서 소수의 사람들만이 성공을 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결국 중국으로 진출해서 성공하고 싶다면 반드시 중국에 대해서 아는 것이 선행과정일 것이다.
중국에 대해서 알아 보려고 하면 먼저 데이터를 뽑기가 일수이다. 이러한 정량적인 데이터는 어느정도 쉽게 뽑을수가 있겠지만 생활문화 및 수준, 각 지역간의 인식, 사고관의 차이, 민족성, 사용하는 단어의 잠재적인 의미와 같은 요소들은 숫자들로만 가득찬 정량적 데이터에는 나오지 않는다. 이것은 오직 인간만이 파악이 가능하며 이해할수 있는 문화적인 특성이기 때문이다. 즉, 중국에 대해서 알려면 중국에 대한 잔뼈가 굵은 사람의 말을 들어야 하는 것이다.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잔뼈 굵은 이야기들을 하고 있다.
중국인들은 체면을 중시하며 그 보다 더 돈을 중시하는 심리, 도시별로 1,2,3급 도시로 나뉘며 각 도시마다 판매되는 브랜드 및 소비성향, 반일감정, 넓은 땅덩어리가 가지는 느린 전파력, 각 시장에 진입할때 지역별 기준점, 각 소득별로 선호하는 것과 한국의 트렌드와의 연계성, 그리고 현지화의 중요성 등등 중국에서 비즈니스를 할 때 알아야 하지만 정량적 보고서에는 제대로 나오지 않는 중요한 요소들에 대해서 알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그렇게 중국 시장에 대해서 한차례 죽 소개를 한 후에는 중국 진출 전략 코드를 5가지로 나누어서 제시하고 있으며 중국 유통 전략 및 그 구조와 특성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또한 단순히 이러한 내용을 나열하지 않고 이러한 내용을 잘 적용한 모범 기업들을 소개하고 이들이 어떻게 적용했는지를 설명함으로서 좀더 명확하게 이해할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중국에 대한 중요성은 알면서도 중국에 대해서 몰랐었던 부분이 많다는 것을 느꼈으며 이 책을 보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