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냉장의 세계 - 인류의 식탁, 문화, 건강을 지배해온 차가움의 변천사
니콜라 트윌리 지음, 김희봉 옮김 / 세종연구원 / 2025년 6월
평점 :
이 책은 출판사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냉장의 기술발달은 단지 신선도를 유지하는 것을 뛰어넘는다. 냉장의 변천으로 농사를 짓지 않아도 거래가 이루어지며, 도심에서 키우던 동물이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도 했다. 이렇듯 유통망이 바뀌고 우리의 일상이 바뀌는 과정들이 흥미진진하였다.
처음 냉장고를 도입했을 때 지금과는 반대로 냉장고에 들어간 식품은 상할 것이라는 우려했다고 한다. 또한, 냉장에 보관하는 식품들의 유효기간이 없었다는 것도 신기했다.
후반부에 냉장고를 쓰레기통이라고 표현한 부분에서 크게 공감이 되었다. 나 역시 냉장고 안에는 음식들이 싸여있고 미처 먹지 못해 버리기도 한다. 냉장고가 우리에게 신선도가 오래 유지 시켜주기도 하지만, 음식을 먹지 않고 유통기간이 지나 먹지 못해 버리므로 낭비하게 만들기도 한다. 냉장고는 신선도를 유지하는 도구이지만, 꽉꽉 채워 놓는 공간이 아님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하도록 연구하고 식품을 급속으로 얼리고 신선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개발한 이들은 이익을 위해 노력한 부분도 있었겠지만, 그들로 인해 지금 우리는 제철이 아닌 과일을 사계절 내내 먹을 수가 있으며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과일을 먹을 수 있다. 나의 최애 과일인 바나나의 맛을 보지 못했을 수도 있을 거라는 사실에 새삼 냉장의 기술이 발달한 것에 다행이라는 생각이다.
우리는 지금 냉장고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의 식탁은 더 풍요로워졌음은 인정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