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16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16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약 한 해 동안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을 상품이나 대중문화가 무엇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면 엄청난 파급력을 갖게 될 것이다. 그만큼 트렌드를 예측한다는 것은 많은 노력과 시간, 비용이 요구되는 일이고 정확도면에서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매년 당당히 트렌드 코리아라는 이름을 붙이고 나와서 경제경영 분야 베스트셀러에 장기집권하는 책이 있다. 서울대학교 소비자 트렌드 분석센터가 연말 즈음에 펴내고 있는 이 <트렌드 코리아 시리즈>가 바로 그런 책이다.

 

 이번에도 어김없이 출간된 이 책에서는 2016년 병신년 한 해 동안 대중들에게 관심을 받고 인기를 끌거라고 전망하고 있는 소비 키워드들을 독자들에게 소개해주고 있다. 현대인들의 소비 구명보트가 되어줄 플랜Z부터 시작해서 램프증후군, 1인미디어, 연극적 개념소비, 미래형 자급자족, B급 정서, 아키텍키즈, 취향공동체 등의 키워드들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이런 키워드들을 통해서 느낀 것은 올 한 해에도 작년처럼 많은 사람들이 어려운 소비 생활을 할 것이라는 점이다. 아무래도 경기가 계속 좋지 않기 때문에 자신에게 필요한 것만 철저하게 소비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불경기가 지속되면 기업들 역시 소비자들의 까다로운 취향과 욕구 조건을 맞추기 위해서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비자들이 소비를 줄이겠지만 여전히 새로운 것들을 추구하면서 자신의 개성을 뽐내려나는 소비자층도 확고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려는 있어벌리티를 통한 소비자들에게는 나름의 맞춤형 제품을 선보일 수도 있을 것이고, 브랜드의 후광에서 벗어나서 품질에 눈길을 주고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가격이 아닌 품질 전략으로 다가가면 될 것이다.


 이 책이 항상 나올 때마다 베스트셀러가 되는 배경에는 그만큼 다양한 소비자들의 취향을 반영하고 철저한 분석을 통해서 정확성을 높였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제는 우리나라 대표 트렌드 분석 서적 시리즈로 자리잡은 이 책을 올 한 해 소비자들의 마음을 얻으려는 기업들이 꼭 읽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