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베라는 남자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최민우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살아가면서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 관계를 맺는 것처럼, 독자들 역시 수많은 책들을 읽으면서 그 안에 있는 수많은 인물들을 만난다. 비록 텍스트로 보여지는 것이 전부지만 잘 쓰인 소설 안의 캐릭터는 마치 우리 곁에 살아 숨쉬는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로 생생한 것이 사실이다. 스웨덴의 블로거를 일약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로 변화시킨 이 소설 [오베라는 남자]의 주인공 아저씨인 오베가 바로 그런 캐릭터일 것이다. 59세에 은퇴를 하고 40년 가까이 살던 집에서 남은 인생을 살아야 하는 오베라는 인물들의 첫 등장부터 예사롭지 않은 기운을 느낄 수 있다. 만약 내가 저 사람의 이웃이라면 내가 이사를 가든지 아니면 저 사람을 이사를 보내든지 둘 중의 하나는 분명히 떠나야 할 정도로 굉장히 불친절해보이고 까다로운 이웃이 바로 오베이다. 남들에게 사회성 없다는 평판을 듣고 있는 이 남자에게도 유일하게 아낌없이 사랑과 배려를 베풀었던 한 사람이 있었다. 그 사람이 바로 그와 함께 평생을 보낼 줄 알았던 하나 뿐인 아내였는데, 그녀는 6개월 전에 세상을 떠나 오베는 다시 혼자가 되었다.


 무채색인 이 세상에서 무채색인 당신에게 유일한 빛과 색깔이었던 아내가 사라진 세상에 더이상 미련을 느끼지 못했던 오베는 결국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려고 마음을 먹는다. 하지만 무엇이든 자기 마음대로 하려는 오베에게도 그 일은 누군가 혹은 무엇의 방해로 마음대로 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된다. 이 소설은 그런 오베의 고집과 오베의 선택을 방해하는 이웃들의 좌충우돌 그리고 오베와 소냐의 아름다운 사랑 이야기를 교차시키며 진행해 나가고 있다. 첫 장부터 까칠한 매력을 발산하여 비호감으로 전락할 뻔했던 오베라는 캐릭터가 소설을 읽어 내려가면서 조금씩 매력적으로 비쳐지는 것이 매우 신기했다. 사회성이 없다는 주변의 평가도 오베의 말대로라면 그저 그 사람들처럼 지나치게 싹싹하지 않을 뿐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는 종종 우리의 미소에 똑같이 화답하지 않은 사람들, 우리의 관심사에 똑같이 귀를 기울이지 않는 사람들에 대해 지나치게 냉정한 판단을 내리고 있다. 어쩌면 그 당사자는 자신이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것과 동등하게 자신 또한 피해를 받고 싶지 않은 것일지도 모른다. 소설을 읽어보면 오히려 그런 대다수의 사람들이 쉽게 빠지는 일반화의 오류에서 오베라는 인물이 동 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베는 특별히 누군가에게 친절하지도 않았지만 그렇다고해서 누군가를 특별히 차별하거나 혐오하지도 않았다. 그는 그저 자신의 세계 안에서 충실히 했을 뿐이고 그것이 우리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여겨지는 반가운(?) 이웃이 아니었을 뿐이다. 어쩌면 이 소설이 이렇게 큰 인기를 끌었던 배경에는 바로 독특하지만 매력있는 오베가 주인공이었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