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바이올린 색채 3부작
막상스 페르민 지음, 임선기 옮김 / 난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침내 그것을 가졌지만 그 순간 모든 것을 잃었다, <검은 바이올린>  



 과거부터 지금까지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것들 중 하나가 바로 특출한 이들의 유별난 천재성이다. 선천적이든 후천적이든 독보적인 재능을 선보이는 이들을 바라보는 평범한 이들의 시선은 부러움과 질투가 뒤섞여 있다. 막상스 페르민의 색채 삼부작 중 두 번째 작품인 이 <검은 바이올린>에 등장하는 세 인물 역시 그런 천재적 재능을 가진 이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먼저 프랑스에서 나고 자란 요하네스 카렐스키는 다른 사람들이 모두 황홀하게 듣지만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수준의 바이올린 연주를 한다. 거의 신적인 천재로 묘사되는 그의 목표는 지극히 숭고한 오페라를 작곡하는 것이었다. 31세에 나이에 전쟁에 소집된 이 청년은 잊지 못할 이 시기 동안 삶을 위로해주던 음악 대신 모든 것을 집어삼키는 탐욕을 체험한다. 큰 부상을 입고 1797년 베네치아에 입성한 카렐스키는 이곳에서 자신이 그토록 바라던 오페라를 쓸 수 있을 것 같은 운명과도 같은 느낌을 받는다.



 

 카렐스키가 머물기로 한 저택의 주인은 에라스무스라는 이름을 가진 노인이었는데, 그는 바이올린을 만드는 장인이었다. 이 장인에게는 묘한 소리를 내는 검은 바이올린 한 대와 마법에 걸렸다고 말하는 장기판 하나, 그리고 오래된 증류주 한 병이 있었다. 이 노인이 음악에 취해 있을 않을 때에는 술에 취해 있었고, 술에 취하지 않을 때에는 장기에 취해 있었다. 그 정도로 바이올린 연주와 장기 놀이 그리고 음주가 이 노인의 시간을 채우는 가장 중요한 세 가지 일이었던 것이다. 어느 날, 요하네스 카렐스키는 산자카리아 성당의 저녁 미사에 참석했다가 아름다운 여인의 목소리를 듣게 된다. 그 숭고한 영혼의 목소리를 들었다고 에라스무스에게 전하자 과거의 이야기를 꺼내기 시작한다. 젊은 시절, 그는 베네치아에서 멀리 떨어진 크레모나라는 도시에서 살고 있었다. 바이올린 제작을 하던 그에게 어느 날 베네치아의 페렌치 공작으로부터 의뢰가 들어온다. 사실 에라스무스가 제작할 바이올린은 공작이 아닌 공작의 딸 카를라에게 줄 생일선물이었다. 그녀에게 사로잡힌 장인은 베네치아에서 지내는 마지막 밤에 카를라로부터 공연 초대를 받는다. 베네치아 청년들이 다수 모인 그 자리에서 사소한 언쟁이 시작되고 결국 에라스무스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바이올린을 만들겠다고 공언한다. 하지만 결국 그 검은 바이올린을 완성하게 되자 영혼의 음색을 가졌던 카를라의 목소리는 신기루처럼 사라지고 만다. 그 이야기를 전한 후 에라스무스 역시 말을 잃고 세상을 떠나고 만다. 베네치아를 떠나기 며칠 전, 요하네스는 작업장에 들어가 노인의 검은 바이올린을 연주한다. 그러다 문득 분노에 휩싸여 땅에 내던지고, 바이올린은 여자의 비명소리 같은 소리를 내며 산산조각난다. 베네치아를 떠나 다시 파리로 돌아온 요하네스는 바이올린을 연주하지 않았고 오페라 작곡에 전념한다. 마침내 완성된 수많은 음표가 적힌 노트를 불길에 내던지며 그 역시 조용히 생을 마감한다.



 

 어떻게 보면 백일몽 같기도 하고 천재들의 허무한 동화 같기도 한 이 작품이 주는 허무함의 깊이는 대단하다. 사랑하는 여인에게 약속한 너무나도 훌륭한 바이올린이 결국 그녀가 가진 재능을 빼앗자 상실감에 젖게 된 에라스무스와 그토록 꿈꾸고 희망하던 최고의 오페라 작곡을 성공해냈지만 결국 스스로의 손으로 없애버린 요하네스의 삶에서 천재가 아닌 이들이 느끼는 감정은 다소 복잡할 것이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무언가를 이루고 완성하고 소유해야만 끝이라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막상을 손에 쥔 순간 느끼는 감정은 온전한 성취감이나 만족은 아니다. 누군가는 이것으로 정말 끝인가라는 허무함이 들 수도 있고 더 이상 이룰 수 있는 것이 없는 것인가라는 두려움이 들 수도 있다. 아름다고 고요한 도시 베네치아를 배경으로 한 천재들의 이야기라서 온전히 감정 이입하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작가가 전하고자 하는 그 느낌을 우리가 완전하게 이해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한다. 그저 스산한 가을 저녁 분위기와 비슷한 감성을 가진 이 색채 삼부작 두 번째 소설을 읽고 나서 마음 한 구석 어딘가에 여운을 남겨 보는 것만으로도 괜찮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