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래스 호텔 스토리콜렉터 101
에밀리 세인트존 맨델 지음, 김미정 옮김 / 북로드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욕망이 만들어낸 유리 위를 위태로이 걷다, <글래스 호텔>

 



우표 회신 쿠폰을 미끼로 투자자들을 끌어 모아 사기를 쳤던 실존 인물의 이름에서 유래한 폰지 사기는 요즘에도 언론에 심심치 않게 등장하는 오랜 사기 수법이다.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데도 기존 투자자들의 투자금을 받아 신규 투자자들을 모으는 이런 단순해 보이는 수법에 수많은 사람들이 당했다. 이런 폰지 사기를 친 사람들 중에서도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이가 바로 버나드 메이도프일 것이다. 2008년 금융 위기를 계기로 사기 행각이 발각되기 전까지 메이도프는 인정받는 금융인이었다. 하지만 그가 이룬 부와 명성이 폰지 사기 수법으로 올린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감옥에 갇히게 된다. 아서 C.클라크 상을 수상한 에밀리 세인트존 맨델은 이 메이도프 사건을 바탕으로 돈과 욕망을 좇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이 소설에서 그려내고 있다.



 

토론토 대학교에서 재무를 전공하고 있는 폴과 그의 의붓동생 빈센트의 짧은 재회로 시작한 소설은 카이에트 호텔로 독자들을 데리고 간다. 캐나다 벤쿠버섬 최북단에 위치한 이 호텔은 초대형 판유리로 외벽을 마감한 것이 특징이었다. 이 호텔에서 야간 청소 관리인으로 일하고 있던 폴은 이상한 낙서로 인해 해고를 당하고, 바에서 바텐더로 일하고 있던 동생 빈센트는 사업가인 조너선 알카이티스를 만나게 된다. 서른 세 살 연상의 부자 조너선의 트로피 와이프가 된 빈센트는 이전과 전혀 다른 삶을 살게 된다. 대저택에 머물며 세계 곳곳을 여행하고 화려한 파티에 값비싼 드레스를 입고 등장하는 삶이었다. 하지만 그런 빈센트의 삶도 조너선의 사무실로 급히 오라는 전화 한 통으로 끝나게 된다.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조너선 알카이티스는 폰지 사기를 통해 부를 축적한 인물이었고, 모든 것이 들통이 나자 170년 형을 받고 감옥에 갇히게 된다. 이야기는 조너선의 사기 피해자인 리언 프레반트에게로 넘어간다. 모든 것을 잃고 콜로라도주 남쪽 끝에 있는 메리어트 호텔에서 일하는 리언에게 어느 날 일자리 제안이 찾아온다. 넵튠컴벌랜드 호라는 이름을 가진 배에서 보조 주방사로 일하던 여성의 실종 사건을 알아봐달라는 일이었다. 그리고 그 실종된 여성이 바로 조너선의 몰락과 함께 뉴욕에서 홀연히 사라진 빈센트라는 사실이 드러난다. 그리고 더 많은 사람들이 등장하면서 그날 빈센트에게 일어난 일이 무엇인지 서서히 밝혀지게 된다.



 

폰지 사기를 소재로 하고 있는 작품이지만 금융사기를 전면에 다룬 스릴러라는 느낌은 전혀 받지 못했다. 오히려 그 사기에 연관이 된 사람들의 허망한 모습과 심리 묘사를 통해 돈과 욕망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작가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모래 위에 지은 성이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이 책의 제목인 글래스 호텔 역시 위태로운 바닥 위에서 아슬아슬하게 걷는 현대인들의 욕망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안에 있는 것이 밖에서 그대로 보이고, 바깥 풍경이 안에서도 보이는 유리로 만들어진 호텔은 멀리서 보면 정말 신비롭기 그지없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가 손을 대보면 밖과 안이 연결되지 않고 유리로 가로막혀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인생의 의미와 가치를 스스로가 아닌 타인의 손에 맡긴 사람들에게는 결국 허무함만이 남을 뿐이라는 교훈을 이 소설을 통해 다시 한 번 깨달았다.

 

 

 


 

출판사 측으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자유롭게 쓴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