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초
T. M. 로건 지음, 천화영 옮김 / arte(아르테) / 201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절벽 끝에 서게 된 피해자의 마지막 선택, <29초> 


 몇 년 전에 전 세계를 뒤흔든 미투(me too) 사태는 성폭력이 나라와 영역 구분없이 일어나고 있었다는 사실을 재확인시켜주었다. 평범한 여성들은 물론이고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있었던 인물들 역시 과거 또는 현재에 그런 부당한 폭력에 피해를 입었다는 고백은 너무나도 충격적이었다. 거짓말로 흔들리는 부부 관계를 섬세하게 다루었던 전작 <리얼 라이즈>로 우리나라 독자들에게 첫 인사를 나눈 작가의 두 번째 출간작인 이 작품에서도 그런 직장내 성폭력을 현실적으로 잘 그려내고 있어서 주목하게 되었다.   



 이 소설의 주인공인 세라는 대학교에서 시간 강사로 일하고 있는데, 상사인 러브록 교수에게 집요하면서 불쾌한 성폭력을 당하고 있다. 대학 내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그가 주인공 사라에게 행하는 괴롭힘은 전형적인 위계에 의한 폭력이었다. 고통스럽지만 자신의 인생이 걸린 문제이기에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던 사라에게 뜻밖의 기회가 눈앞에 생겨난다. 납치될뻔한 한 아이를 돕게 되고 그 아이의 아버지이자 러시아 마피아 볼코프로부터 충격적인 제안을 받게 된 것이다. 단순히 선행에 대한 물질적인 보상이 아니라 평범한 인간이라면 해줄 수 없는 엄청난 거이었다. 그것은 바로 사라의 인생에서 없애버리고 싶은 한 사람의 이름을 말해주면 들어주겠다는 제안이었다.


 

 볼코프의 이런 충격적인 제안을 받은 사라의 고민은 부당한 폭력의 피해자이었기에 한 귀로 흘릴 수 없었다. 제안을 받게 되는 바로 이 지점부터 독자는 주인공의 입장에서 앞으로의 작품 전개를 고민하게 된다. 살아가는 동안에 누구나 정말 눈물이 날 정도로 억울한 상황에 처하기도 하고 엄청난 피해를 입기도 한다. 그리고 그런 억울한 피해를 입한 사람이 정당한 처벌을 받지 못하면 직접적인 가해를 머릿속으로 상상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상상이 상상으로 그치는 것은 역시 문명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학습, 타고난 양심과 도덕관념의 제한 장벽이 있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스릴러 장르 소설이기 때문에 주인공 사라에게 주어진 선택과 기회는 다소 작위적인 부분이라는 점을 부정할 순 없다. 실제로 성폭력을 당하고 있는 현실 속 피해자에게 사라와 같은 상황은 일어날 가능성이 희박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라가 받은 제안은 사라 역시 가해자가 되는 아이러니한 부분이 있다. 내가 간절히 바라는 것은 전 세계 성폭력 가해자들의 추악한 실상이 폭로가 되고 법적으로 정당한 절차를 밟아서 죄에 대한 대가를 치르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가해자들이 법망을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가는 실제 케이스들이 뉴스를 통해 전해지기에 이런 작품 속 상황을 진지하게 고민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