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갈 용기 - 자유롭고 행복해질 용기를 부르는 아들러의 생로병사 심리학
기시미 이치로 지음, 노만수 옮김 / 에쎄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늙어갈 용기

 

책을 읽기 전, 늙는 다는 게, 나이가 든다는 것이 과연 용기가 필요한 일인 것인지 많이 생각했다. 그리고 과연 다른 사람들은 살면서 늙는 다는 것을 언제 어떻게 느끼며 살고 있을까라는 의문도 생겼다. 실로 나는 내 나이를 말해주는 숫자가 커지는 데도 불구하고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아직은 내가 나이가 들고 있다는 자각을 일상생활에선 잘 하진 못 하지만 가끔 내가 죽고 못 사는 여행이 귀찮아질 때는 깜짝 놀라며 나도 늙나? 라는 생각을 하곤 한다.

 

아들러 심리학은 미움 받을 용기라는 책을 읽고 처음 알게 됐고, 이 후 이에 관심을 갖게 되어 버텨내는 용기라는 책을 읽고 마침내 늙어갈 용기를 읽었다. 사실 읽으면서 내용 면에서 버텨내는 용기와 비슷한 부분이 많았다.

 

책의 제목은 늙어갈 용기인데 첫 장은 대화할 용기로 그 문을 연다. 우리는 올바르게 대화하고 있을까? 나는 타인과 제대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는 걸까? 라는 의문을 가지며 읽었다. 저자가 강조하는 공동체 감성이 내게는 좀 부족했던 것 같아 반성도 하면서 대화란 것의 정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었다. 2, 3, 4 장에선 아픔과 나이 듦, 죽음에 대해 논하고 있다. 생각 보다 내용이 쉽진 않았다. 소설 책 읽듯 넘어가진 않지만 아들러 심리학에서 강조하는 인생은 선이 아닌 점선의 집합이라는 면에서 이해한다면 우리는 살면서 긴 선을 완성하는 게 아닌 하나의 선을 잘 들여다보면 이를 이루고 있는 수많은 점을, 즉 현재 인 순간인 점을 매 순간 완성하며 살고 있고 그래서 용기를 가지고 지금 이 순간을 살면서 현재에 충실하다면 인생의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에 다다를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저자는 말한다. 인간은 혼자 잘 살 수 없다. 우리는 존재만으로도 타인에게 공헌하고 있고 그런 면에서 우리는 공동체 감성을 잊어선 안 된다. 존재만으로 타인에게 공헌하고 있다는 말이 얼마나 와 닿았는지 모른다.

 

이 책을 읽으면서 외롭다 거나 어떤 문제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누군가가 알게 됐으면 좋겠다. 당신도 존재만으로도 그 누군가에게 큰 힘이 되고 있으니 조금만 더 용기를 내어보라고 말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