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가메시 서사시 - 인류 최초의 신화 현대지성 클래식 40
앤드류 조지 엮음, 공경희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길가메시 서사시는 인류 최초의 신화다. 아마 최초의 이야기라고 불려도 될 것이다.

군주 길가메시가 폭정을 일삼다가 친구와 지혜를 얻고, 악당을 물리치고, 친구의 죽음을 보고 영생을 얻기위해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다.

최초의 신화임에도 불구하고 신들의 이야기는 거의 나오지 않으며(길가메시는 3분의 1이 인간이니까 그냥 인간이라고 칩시다.),

욕망하고 좌절하고 성장하는 생생한 인간의 삶이 드러난 작품이다.

문학과 철학은 신화의 배다른 자식이라 볼 수 있다.

신의 이야기에서 인간의 이야기로 바뀌면서 문학이 시작되었고,

세계의 설명에서 인간의 설명으로 바뀌면서 철학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길가메시는 영생을 얻는데에는 실패했지만 영생을 얻은 인간 우트나피쉬팀에게

젊음을 찾는 약초가 있는 장소를 알게 된다.

그 약초를 먹기 전에 몸을 씼던중 뱀이 그 약초를 먹어버려 모든 일이 수포로 돌아간다.

그리고 집으로 돌아가 충실한 삶을 살다가 죽는다.

죽음을 의연하게 받아들이고 매사에, 매 순간 삶에 충실하게 살아라.

생철학과 실존철학의 기본주제와 일치하는 말이다.

어쩌면 고대인들은 이미 삶의 정답을 알고있었던 것은 아닐까?

철학과 문학은 먼 길을 돌아 제 집을 찾은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