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세상 - 트위터 팔로워 총 490만 명, 글로벌 인플루언서 9인 팬데믹 대담
말콤 글래드웰 외 지음, 이승연 옮김 / 모던아카이브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팟캐스트 멍크 다이얼로그 시즌 1의 방송을 대담자인 러디어드 그리피스가 정리해 책으로 만든 것이다.

말콤 글래드웰을 비롯한 전문가들이 코로나 시대에 대한 고찰과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까를 얘기한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대충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말콤 글래드웰- 코로나 이후의 사회는 농구보다 축구. 강점을 특화하기보다 사회취약지점을 없애야 한다.

2차 세계대전 같은 큰 여파는 없을 것. 코로나는 다음 팬데믹을 대비하는 데 좋은 학습이 될 것.

파리드 자카리아- 코로나는 세계대전이 그런 것처럼 기존 현상(그 당시에는 미국의 부상, 지금은 미중 갈등)을 가속화한다. 우파든 좌파든 정부는 유능한 관료조직이 필요하다. EU는 연방국인가 진정한 연합인가 갈림길에 놓임.

독재국가가 탄생할 위험, 회복력을 중요시해야.

모하메드 엘 에리언- 기업은 효율보다 회복력을 더 중요하게 생각할 것. 민간과 공공이 뒤섞임. 탈 글로벌화.

금융보다 인력, 자본의 생산성에 의존하는 성장 모델로 되돌아가야.

주식시장에 위험을 정부가 감당할 것으로 예측하는 부정적 외부효과가 있다. 더 큰 정부의 시대.

서맨사 파워- 민족국가는 사라지지 않는다. 반자유주의 국가가 생긴다.

기후변화 같은 문제에 미-중 공조가 필요. 안보 연쇄 효과로 미국 본토도 위험해질 수도.

니얼 퍼거슨- 50년대 독감과 비슷하지만 대응이 상이. 팬데믹보다 경제 붕괴가 더 위험. 경제 회복 힘들다.

대응이 달라진 이유는 세계대전을 거쳐 죽음에 무덤덤해졌기 때문.

독재보다 민주주의가 전염병 대처에 좋다. 탈중앙화가 이루어질 것.

카라 스위셔- 빅 테크 기업의 부상. 데이터와 프라이버시의 문제.

비용을 떠넘겨 성장한 빅 테크 기업. 규제 강화와 완화 그 중간이 필요하다.

필수인력=희생 인력. 코로나의 피해는 사람마다 다르다.

데이비드 브룩스-코로나는 최초로 북미가 침략당한 사건.

엄격한 나라들(ex 한국)은 코로나 대처가 성공적, 공동체주의로 전환해야 한다.

좌파는 계급투쟁을 멈추고 성장담론을 가져와야 한다.

기본소득제는 노동윤리에 상처를 줄지도 모른다. 능력주의는 재고되어야 한다.

이안 브레머- 구조적 불평등이 심해지고 있다. 개발도상국에 권위주의 모델이 인기.

지금은 개혁하기에 충분히 위험한 시기.

미국이랑 중국 싸우면 미국이 이긴다. (유럽+일본+호주+캐나다가 미국 편일 것)

사하라 이남은 젊어 코로나로부터 빨리 벗어날 것.

구조적 실업이 증가하면 기본소득 담론이 힘을 얻을 것이다.

빅터 가오- 중국 욕하지 마라. 미국이 잘못했다.

결국 대충 정리하자면, 코로나로 인해

개인별 국가별 불평등 심화, 독재국가의 탄생, 큰 정부의 유행, 탈 글로벌화와 미중 갈등 격화,

기본소득 담론 등장, 사회안전망 확보 필요성, 효율보다는 회복력을 중요시, 하게 될 것이다.

더 큰 정부가 득세하는 1984가 나타날 것인가, 미국이 중국이랑 크게 치고받을 것인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어떻게 펼쳐질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이 책을 읽으면

견적은 잡아볼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