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야생의 심장 가까이 ㅣ 암실문고
클라리시 리스펙토르 지음, 민승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22년 11월
평점 :
편집자님의 레터를 받고 책을 한 번 들어보았다. 가벼운 무게에 컴팩트한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이해하기 어렵다’는 수식이 붙은 이유가 궁금해졌다. 그만큼 책을 한 번 펼치기가 두려웠던 것
같다. 사실 미루고 미루다 읽기 시작했는데, 미룬 일을 후회하지 않을 만큼 과거의 내가 지금의
나에게 준 선물이라고 느낀다.
처음 읽을 때는 이야기를 이해하고 싶어 읽고, 또 읽었다. 내가 지금 읽는 부분이 이 사람의 생
각인지, 저 사람의 언행인지 제대로 파악하려면 잠깐의 순간도 집중력을 포기해서는 안됐다. 그
렇게 눈에 힘을 주고 읽다가는 눈에 쥐가 날 줄 알았는데, 어느새 마지막 장을 넘기고 있었다.
빠져들었다. 대사 한 줄을 여러번 고쳐 읽던 초반의 모습은 찾을 수 없이 책에 몰입한 나만 남아
있었다. 그리고 나에게는 너무나도 많은 문장들이 남아 있었다. 그 문장들은 나에게 마침 다가
오는 신년에 품고 갈 철학적 과제들을 주는 것 같았다.
1920년에 태어나 1943년에 발표한 클라리시 리스펙토르의 첫 장편이라고 쓰여 있던 책 날개
를 믿을 수 없어 다시 펼쳤다. 겨우 23년을 살아내며 적은 글이라니. 어떠한 인생이 23년에 응
축되어 있었는지는 모르나, 그 인생에 담긴 철학적 고뇌가 주인공인 주아나의 중얼거림에 묻어
있었으리라 짐작해보면 그 23년을 이 얇은 책 한 권으로 사 읽은 내가 얍삽하다고 느껴지기까
지 한다.
친구가 생일선물로 준 책갈피가 있다. 열심히 읽고 있는 책에 자주 끼워두곤 했는데, ‘Mariana
trench’, ‘마리아나 해구’라고 적혀 있는 은색 책갈피다. 대양에서 가장 깊은 해저인 마리아나
해구를 나에게 준 건, 내가 그 깊이만큼 사고할 줄 아는 사람인 것 같기 때문이라는 내용의 편지
와 함께 받았다. 그때도 지금도 내가 당장 그러한 사람이라고 자신할 수 없지만, 그 친구가 준
책갈피가 꽂혀 있기에 자연스러운 책을 찾은 것 같다. 마리아나 해구와 같은 깊이의 문장들을
순식간에 만나게 되어 기쁘다.
-> 그 순간은 너무 완벽해서, 나는 두렵지 않았고 무언가에 감사하지도 않았으며, 신이라는 관념에 이끌리지도 않았다. 나는 이제 죽고 싶다고, 내 안에서 해방된, 고통 이상의 무언가가 외쳤다. 이 다음에 이어질 순간은 더 낮고 공허할 터였다. 나는 위로 오르고 싶었으니, 오직 하나의 끝과도 같은 죽음만이 내리막 없는 절정을 안겨 줄 터였다. 주위의 사람들이 일어나 움직이고 있었다. 나는 일어나서, 연약하고 창백한 모습으로, 출구로 걸어갔다. 11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