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
이시모치 아사미 지음, 김주영 옮김 / 씨네21북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이시모치 아사미란 작가를 알게 된 것은 [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란 작품을 통해서다. 처음부터 담담하게, 앞 뒤 설명도 필요없이 살인을 행하고, 범인을 아는 상태에서 그가 왜 살인을 했는지, 그 살인을 탐정도 경찰도 아닌 평범한 사람들(특출나게 추리력이 좋긴 하지만)이 파헤쳐가는 과정을 가독성 있게 그려내어 군더더기없이 깔끔한 작품으로 세공해냈던 작가. 이 작품 이후로 히가시노 게이고, 온다리쿠 다음으로 좋아하는 일본추리작가가 되었고, 그의 신작, <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는 관심이 가고, 읽지 않을 수 없는 책이었다.
'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라니... 뭔가 쫓기는 듯한 분위기도 느껴지고 공포감도 조성이 되며, 어떤 결과에 따른 상황에 대해, 내가 알 바 아니다 라는 식의, 주인공 마음을 유추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책의 표지... 붉은 핏속에서 무시무시하게 피어나는 듯한 한 송이의 꽃. 그 꽃은 마치 곤충들을 잡아먹는 식물을 연상하게 했다. 과연 이시모치 아사미는 이번에 또 어떤 이야기를 풀어내게 할까... 호기심 가득한 마음으로 책장을 넘겼다.
이야기는 [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와 마찬가지로, 나미키라는 한 남자가 세 명의 여자를 연쇄적으로 살인할거라는 계획을 짜는 과정에서부터 도발한다. 이 작품은 작가의 전작과 마찬가지로 범인이 누굴까를 추리하는 재미는 여기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이 이 이야기를 끌고 가는 힘이 될 것인가. 이 작품은 주인공 나미키의 심리를 아주 세밀하게,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는 것처럼 자세히 분석을 해나간다. 이에 따라 독자는 살인자의 심리상태와 정확히 일치된 상태로, 나미키의 살인 행각을 그대로 쫓아 하룻밤을 숨가쁘게 달리는 것이다. 이때 독자는, 아니 나미키는 살인을 어떻게 성공시킬까에서부터 살인이 나미키 자신의 계획대로 무사히 끝마쳐질 것인가에 집중하게 되고,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나미키가 왜 그 세 명의 여자들은 죽이려 하는지, 죽여야만 하는지, 그 이유가 서서히 드러나게 되고 작품의 마지막에서는 반전 아닌 반전으로 깜짝 놀라게 하는 효과까지 선사한다.
나미키에 의하면 이 죽여야 할 세 명의 여자, 미소녀들은 '알라우네' 꽃과도 같다. 이 알라우네 꽃은 독일 전설에 따른 꽃으로, 무고하게 죄를 뒤집어 쓰고 교수형에 처해진 남자가 흘린 정액에서 피어난 전설의 식물이다. 이 알라우네와 세 명의 미소녀들, 그리고 나미키는 도대체 어떤 관련이 있는 것인가. 또한 나미키가 주장하는 '각성'에 대한 궁금증도 독자가 이 책을 끝까지 읽지 않고는 못 배기게 만드는 원동력이다. 자신이 키워온 미소녀 세 명이 '각성'을 하여 무서운 괴물로 변하기 전에 그들을 만들어낸 자신이 그들을 죽여야하는게 마땅하다는 그의 주장. 이게 대체 무슨 말인지, 독자는 작품을 읽어가면서 서서히 알게 되는데, 여기엔 사회적인 문제도 포함이 되어 시사하고 있다.
작품의 마지막... 결론적으로 나미키는 살인계획에 있어 절반의 성공을 거둔다. 나머지는 실패로 끝나지만 이 역시 굳이 실패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고, 성공으로 보기에도 애매한 결말을 맺는다. 나미키 자신 안에 감춰져 있던 알라우네 꽃이 피어나 버린 것이 원인이다. 이 책을 읽지 않고는 이 모든 말들이 무얼 의미하는지 종잡기 힘들다. 궁금하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라. 단, 이 책을 읽는 독자들 또한 자기 안에 있는 알라우네가 피지 않도록 단단히 귀를 막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