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
이시모치 아사미 지음, 박지현 옮김 / 살림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이시모치 아사미'라... 나에겐 그야말로 듣보잡, 듣도보도 못한 작가에 지나지 않았다. 그런데 내가 열광하는 히가시노 게이고와 비견될만한, 그중에서도 내가 예찬해 마지않은 '용의자 x의 헌신'과 경쟁을 한 작품이라니... 괘씸한 생각이 들었다. 감히 우리 히가시노 게이고와 비교를 한단 말이지? 하며 어디 한번 두고보자 하는 마음으로 책을 구입했다. 그.런.데!! 읽어 본 소감은... '비교할만 하구나'다. 그리고 히가시노게이고와 함께 '이시모치 아사미'의 팬이 되어버렸다. 정말 혀를 내두를 만큼 잘 짜여진 플롯, 구성이었다.

한정된 공간, 한정된 사람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사건, 그것도 살인이 끼여있다면 그보다 더 큰 긴장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시추에이션은 없다는 게 내 개인적인 견해다. 그래서 추리소설 중 가장 좋아하는 작품을 꼽으라면, 존경하는 히가시노게이고의 작품을 제치고 아가사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꼽곤 한다. 그런데 이번에 '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를 읽고, 앞으로 어떤 작품을 꼽아야 할지 모르는 사태가 벌어져버렸다. 그만큼 이 작품은 스릴과 긴장감을 놓치지 않으면서 군더더기없이 깔끔한 구성을 자랑하고 있다.

작품의 첫 챕터에서는 문이 닫히게 되는 과정, 그러니까 살인을 벌이는 과정을 담담하게 그려낸다. 작중인물 후시미의 초점에서 말이다. 왜 죽이는지에 관한 내용은 전혀 언급되지 않으면서 '니이야마'라는 사람을 욕조에서 잠이 들어 익사사고를 당해 죽은 것처럼 가장해 살인이란 완전범죄를 계획한 '후시미'다. 욕조 물에 머리를 입수당하고 버둥거리는 니이야마를 제지하면서 꾸역꾸역 살인을 벌이고, 도어락까지 밥풀 접착제를 이용해 작동시키고 완벽하게 문을 잠궈 통제를 막는 후시미의 모습에서 독자는 문득 의문이 든다. 도대체 이 사람은 니이야마라는 사람에게 무슨 원한이 있어 살인을 하는 것일까, 그리고 또 한가지 의문은 왜 굳이 살해현장의 문을 페쇄하여 통제를 막는가 하는 것. "문은 닫혔다."하는 평범한 문구에서 야릇한 공포감과 긴장감을 조성하며 첫번째 챕터가 끝나고 다음 챕터가 펼쳐지는데 후시미는 니이야마와 대학 동창생 관계였다는 게 자연스레 밝혀지고, 니이야마와 만나게 된 계기도 대학 동아리에게 술을 잘 마셔 친하게 된 동창생들의 모임으로, 마치 성과 같은 펜션, 그래서 함부로 문을 뜯거나 부술 수 없는 이 장소가, 후시미에겐 최적의 살인장소였다는 점도 드러난다.

모든 추리소설엔 형사가 등장하는데 이 소설에선 형사는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형사보다 더 똑똑하고 예리한, 그리고 후시미를 좋아하는 매력적인 여자 후배 유카가 등장할뿐. 이 유카란 인물은 문이 열리기도 전에, 유리창을 통해 본 풍경을, 그것도 전해서 들은 내용만으로, 동창생들의 대화내용만으로 니이야마가 살해당했다는 것, 그 살해의 용의자가 후시미라는 사실을 알아낸다.

이 작품의 키포인트는 니이야마가 방에서 잠들었다는 전제하에 니이야마의 시체가 되도록 오래 방치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 후시미의 애간장 녹는 심리상태다. 이 단순한 궁금증을 한 권의 책으로 풀어가며 한 순간도 긴장감을 풀지 못하게 만드는 작가의 능력은 정말 탁월하다. 마지막 결말 부분에서 밝혀지는 후시미의 살해동기라든가, "문은 열렸다."라는 말이 얼마나 시원한 배설감을 느끼게 하는지, 읽어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다. 이 여름, 강추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