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이라, 그건 참으로 우습고도 현실적인 농담이지.

노인들이라면 어린애들은 죽었다 깨어나도 이해 못 하는 촌철살인의 한마디를 갖고 있기 마련이다.

모든 수고와 욕망과 꿈과 고통과 일과 바람과 기다림과 슬픔이 순식간에 드러낸 실체란 바로 해질녘을 향해 점점 빨라지는 카운트다운이었다.

 

시한부 판정을 받은 빅 엔젤.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생일파티를 준비한다.

생일파티를 하기도 전에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결국, 생일파티 전날이 어머니의 장례식 날이된다.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은 이렇게 시작한다.

              

 

어머니의 장례식을 위해 모인가족들.

그리고 장례식 이후 빅엔젤의 생일파티를 준비하는과정중에 가족들의 한명한명의 이야기도 시작이 된다.

미국을 동경해서 미국인이되고자 했던 멕시코인인 빅엔젤!

마지막 죽음의 목전에서 가족의 이야기를 풀게된다.

경험의 한계에서 드러난 아버지의 모습이 진짜 아버지의 모습인냥, 아버지를 본을받아 만들어낸 자신의 모습.

양아들인 인디오를 가족의 범주로 포함시켜 처음으로 마음속 이야기를 한다.

난 왜 미안하다는 말을 하는 법을 몰랐을까?                                                  

빅엔젤은 미국인이 되고싶었기에 미국인의 피가흐르는 배다른 동생 리틀엔젤에 대한 열등감으로 더 자신과 가족들을 가혹하게 몰아붙인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생일파티의 막비지에 진심으로 마음 속 이야기를 하는 두형제의 대화속에 가족이야기들은 한치의 부끄럼도 없이 가족이라는 전제를 두고 하는 이야기일것이다.

기억의 사이사이를 퍼즐조각 맞추듯 맞추어 가며, 둘이 완벽하게 간직하는 기억을 찾아내는것.

결국 두 형제는 그렇게 서로를 이해하게 되는것이 아닐까?                           

난 언덕만큼이나 늙어버렸는데도 이이는 아직도 날 떨리게 하는구나                              

죽음앞에 있는 남편옆에서 이렇게 생각할수 있는 아내 페를라.

결국, 죽기직전까지 남편이 날 사랑한다라는 감정을 알았을때의 떨림이 나에게까지 전해지는 듯 하다.

형에게 내일은 죽지 않는다며, 해변으로의 여행계획을 이야기하는 동생.

한국정서와는 다른 멕시코인들의 자유분방한 모습의 묘사에 당황스러운부분도 물론 있었지만,

동생 리틀엔젤의 츤데레같은 모습이 형 빅엔젤의 모습과 크로스되어 해변을 걷고있는 두 천사의 모습을 그려보며 책장을 덮게된다.

늘 마지막인듯...

감사일기를 쓰는 빅엔젤!

가히 마지막은 행복함으로 끝을 맺는다 이야기하고 싶다.

유색인종에의 차별, 국경지대의 불법체류, 불법체류자들의 빈곤한 삶 등 무거운주제도 놓치지 않고 있다.

일주일 뒤, 빅엔젤의 죽음앞에 가족이 의연하게 하나가 될수 있었던것이야 말로 마지막 생일선물이 아니었을까 하는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루 1% 15분 꾸준함의 힘 - 원하는 것을 손에 넣는 가장 확실한 방법
노승일 지음 / 라온북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하루 1% 15분 꾸준함의 힘

노승일


하루24시간 중에서 1%의 시간 15분!

하루1%, 15분 꾸준함이 나를 변화시키고, 삶을 변화시키게 된다.

하루24시간을 분으로 환산하면 1,440분, 그 1%는 15분이다. 15분이라는 시간이 나를 변화시킬수 있을까?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은 15분이라는 시간이 하루에도 몇번씩 의미없이 소비되곤 하는데 세바시 플랫폼은 꾸준히 15분을 보낸다면 삶은 분명히 달라진다는 메세지로 1,000명이 줄을 서는 15분짜리 강의가 되었다. 그만큼 15분이라는 시간은 세상을 바꿀 수는 없어도 꾸준할 수만 있다면 나를 변화시키고 삶을 변화시킬수 있는 충분한시간이라는 메세지를 준다.

작가는 분명히 얘기한다.

변화하고 싶다면 오늘부터 꾸준히 15분을 바꿔라

15분의 씨앗을 심는것부터 시작하라고 이야기한다.

몸의세포가 한번 바뀌는 주기가 바로 100일이니, 100일만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해나가면 결국 임계점을 넘어설 것이고, 일생을 임계점이 넘은 상태로 살수 있게 된다. 그리고 꾸준한 모닝으로 미라클 모닝을 시작하라고 한다.

매일매일을 기적으로 감사하게 하루를 시작한다면 평범한 삶을 특별한 삶으로 만들어 준다고 한다.

우직스럽더라도 꾸준하게! 노승일작가님이 해주고싶은 이야기일 것이다.

꾸준함을 만들어주는 5가지 법칙

1. 먼저 체력부터 키워라 : 하루 15분 정도의 운동을 꾸준히 한다.

2. 가볍게 시작하라 : 일단 오늘만 해보자라는 맘으로 시작한다.

3. 자책하지 마라. 잘하고 있다고 칭찬하라 : 매일 아침저녁 자신에게 칭찬해주어라 "괜찮아. 잘하고 있어."

4. 완벽하려고 하지 마라 : 중요한것은 꾸준히 하는 것이다.

5. 자신을 믿어라 : 당장 눈에 보이는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가볍게 꾸준히 하라.

작가는 기승전결 꾸준함에 대해 이야기한다.

타고난 재능이 아니라 우직한 꾸준함으로 본인이 일구어낸 자리에 대해 이야기한다.

감사함, 꾸준함 이 두단어가 노승일작가의 현재모습을 만들어냈다는 생각이든다.

에필로그에 담긴이야기가 오래동안 기억에 남을 듯 하다.

꾸준함, 세상에서 특별한 단 한 사람으로 만들어주는 힘!

아무리 바쁜 사람이라 해도 하루 15분 정도는 자신의 의지대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다.

이 15분을 꾸준하게 활용한다면 자신의 인생을 바꿔나갈 수 있다. 꾸준함은 처음에는 미미할 수 있지만 '나비효과'처럼 점점 더 증폭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엄청난 결과를 만들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1%의 시간이라는 15분의 투자로 본인이 일궈놓은지금의 모습을 이야기하고 싶었을 것이다.

그의 꾸준함속에는 운동,독서,감사!

이 세가지가 주를 이룬다.

하루의 5가지 감사일기를 작성하는 부분에 대해

적극추천한다라고 되어있다.

그렇게 선포되고, 기록된 감사가 기적을 만든게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
문은강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장을 덮은 지금, Bee Gees의 How Deep is Your Love를 듣고싶다.

무뚝뚝하고, 원칙적이고, 매뉴얼적인 고복희의 삶에도 사랑이 있는것 처럼, 백수생활에 이세상이 끝난거 같은 무미건조한 박지우의 삶에 희망이 있는것처럼 따뜻하고, 유쾌한 이야기이다.

I knows your eyes in the morning sun

I feel you touch me in the pouring rain

And the moment that you wander far from me

I wanna feel you in my arms again

아침 햇살 속 당신의 눈을 알아

쏟아지는 빗속에서 당신의 손길을 느껴

당신이 내게서 멀어지는 그 순간

내 품에서 다시 당신을 느끼고 싶어

And you come to me on a summer breeze

Keep me warms in your love then you softly leave

And it's me you need to show

How deep is your love

당신은 여름 바람을 타고 내게로 와서

사랑의 온기를 전해주고 떠나

그러니 내게 보여줘

당신의 사랑이 얼마나 깊은지

I really mean to learn

Cause we're living in a world of fools breaking us down

You're the light in my deepest darkest hour

You're my saviour when I fall

난 알고 싶어

우리는 우리를 무너뜨리는 바보 같은 세상에 살고 있으니까

당신은 나의 가장 어두운 시간 속의 빛

쓰러질 때 나를 구원해주는 존재

And you may not think I care for you

When you know down inside that I really do

And it's me youneeds to show

How deep is your love

내가 당신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도 있어

마음 속 깊은 곳에서는 내 사랑을 알면서도

그러니 당신의 사랑이 얼마나 깊은지

보여줄 사람은 바로 나야

무엇보다 당신이 외롭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곧은 막대기같이 올곶기만한 고복희가 있다. 융통성이라곤 물론이고, 감정조차 없는 로봇같은 사람이다. 그리고, 그를 사랑하는 문학도 남자! 감정 또한 넘치고, 정의를 위해 자신이 망가지는것도 모르는 장영수가 있다. 자신의 에너지가 모두 소진이 되어 죽음앞에 다다랐을때 아내인 고복희에게 마지막 유언처럼 전한말이다.

무엇보다 아내가 외로울까봐, 아내의 진짜모습을 왜곡하는 사람들로 인해 외로운시간을 보낼 아내가 걱정이 되었을 것이다.

오십대 중년의 고복희는 먼저 세상을 떠난 남편이 좋아하는 여름을 찾아간것일까? 캄보디아 프놈펜에 원더랜드라는 호텔을 운영한다. 사무적이고, 융통성이 없는 성격으로 폐업의 위기에 있는 호텔에 인생에 나락을 맛본 26살의 백수 박지우가 등장한다.

방에만 있지말라는 엄마의 말에 앙코르와트를 보겠다며 무작정 캄보디아로 한달동안의 여행을 오게된 박지우!

박지우의 눈으로 보게된 캄보디아 교민사회!

이기적이기도 하고, 서로에게 예민하기도 하지만 결국은 서로를 이해하며, 조금씩 도와가며 사는 따뜻한 이야기다.

그 안에는 고복희가 젊은시절을 보냈던 90년대의 대학가 이야기와 IMF구제금융이야기, 새만금사업으로 몸살을 알았던 군산의 이야기까지..타국에서 그들의 삶을 열심히 일구는 이민자들의 이야기까지 책속에 자연스레 녹아있다.

단호한 성격의 주인공인 고복희!

강하디강한 겉으로 보이는 모습과는 달리, 남편이 쏟았던 무한애정을 그리워하며 함께 춤추는 순간을 그리워하는 누구보다 따뜻한 여인이 아니었을까?

그림처럼 그려지는 원더랜드의 풍경이 어쩌면 바깥세상의 갈등관계에서 철저히 독립되어지고 싶던 강한 의지의 산물일거 같다는 생각도 든다.

원더랜드안에서 이루어지는 화해와 성장의 모습에 주인공 고복희의 얼굴에 담겨질 미소가 그려지는 따뜻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머시 수아레스, 기어를 바꾸다 - 2019년 뉴베리 대상 수상작 미래주니어노블 3
메그 메디나 지음, 이원경 옮김 / 밝은미래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시오사 : 소중한아이

할아버지가 머시를 부르는 말이다. 소중한 아이!

나도 누군가에게는 소중한 아이였을거고, 가족은 소중하다는것을 기억하게 하는 따뜻한 이야기이다.

2019년 뉴베리대상 수상작이라다.

그 이름에 걸맞는 가족의 이야기에 중간중간 눈시울이 붉어지기도 하고, 또 앞으로 더 채워질 앨범속 가족사진을 기대하게도 한다.

 

머시 수아레스, 기어를 바꾸다

메그 메디나

책을 읽는 동안, 머시의 매력에 푹 빠질 수 있는 책이다. 머시는 고모까지 삼대가 한집에 모여살고, 명문사립학교에 다니기는 하지만, 봉사활동시간을 채우고, 상위 성적을 유지해서 장학금을 받아 수업료를 대체해야만 학교를 다닐수 있는 형편인 머시!

 

 

 

그 어떤것도 학교에서 머시를 떳떳하시 못하게 한다.

그리고..

성장소설에는 늘 그렇듯 눈엣가시같은 친구도 등장한다.

머시의 외모와 가정환경에 사사건건 시비조로 이야기하는 애드나가 있다.

그리고, 늘 머시의 편에서 따뜻한 맘으로 이야기를 들어주는 할아버지!

햇살친구(전학온 친구의 적응을 도와주는 친구)가 되어줘야하는 마이클!

할아버지가 내쪽으로 돌아 앉더니, 굳은살이 박인 크고 따뜻한 두 손으로 내 손을 잡는다. 순간 할아버지가 내게 신발 끈 묶는 법을 알려 준 날이 생각난다.

거칠거칠한 손으로 내 손을 잡고, 토끼 귀 둘을 서로 꼬듯이 신발끈을 묶게 해주던 할아버지

애드나와의 관계에서 상처받을 법도한데, 풀이죽을법도 한데, 머시는 당당하게 맞선다. 하지만, 늘 어떤이야기든 열린맘으로 늘 소중한아이 편에서 들어주는 할아버지가 있다.

사람 관계라는 건 이따금 취향의 문제란다. 이 쿠키처럼 말이다. 좋은 사람도 있고 싫은 사람도 있는 법이지. 그건 나쁜 게 아냐. 사람은 원래 그래.

머시에게 늘 조언을 아끼지 않는 할아버지의 이상행동들!

알츠하이머가 할아버지를 점점 약하게 만든다.

할아버지의 아픔으로 인한 머시의 든든한 기둥이 무너지는것 같은 상황에 머시로 인해 햇살친구가 되어준 마이클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이 된다.

마이클을 좋아하는 애드나의 질투가 원인이 되어 악의적인 행동에 의해,

사고 뒤에 또 다른 불미스러운일들이 머시 주위에 일어나게 된다.

하나하나 씩씩하게 해결해나가는 머시의 모습에서 샘이의 모습이보인다.

머시의 이야기를 샘이에게 해주고 싶다.

할아버지,할머니,아빠,엄마,찬이,이모들..

샘이에게도 든든한 가족이 있고,

일련의 일들을 꿋꿋하게 이겨나가는..

할아버지,할머니의 존재가 샘이에게는 머시와 같은 마음으로 있는걸 안다.

그렇기에 할아버지의 알츠하이머에 누구보다 아파하는 머시의 모습에 더 마음이 아파진다.

머시의 집은 할아버지,할머니,고모,고모의 쌍둥이자녀,아빠,엄마,오빠, 그리고 마지막 머시까지 대가족이 산다.

그안에서 가족을 위해 크고 작은 희생을 하게된다.

머시의 학교안에서 일어났던 작은 열등감들은 어느덫 공기중으로 날아가 버리고, 그이상의 놀라운일들이 기적처럼 채워진다.

가족이라는 울타리안에서 말이다.

결국 강한 자아와 가족의 사랑이 또 하나의 성장을 만드는 삶의 원동력이라고 이야기해준다.

새자전거를 타고, 한껏 자라버린 머시처럼..

샘이에게도 새자전거에 몸을 싫어 힘껏 달렸으면 한다.

슬프지만 유쾌한 머시의 성장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할매가 돌아왔다
김범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가 조남주의 도서평이 먼저 들어온다.


일본 헌병과 바람나 가족을 버린 할머니, 살림 솜씨가 엉망인 어머니, 이혼 위자료로 받은 건물 하나 믿고 사는 딸. 얼핏 삼대에 걸쳐 여자들이 집안을 말아먹는 이야기로 보인다. 그런데 그녀들의 곁에 유약하고 경솔한 할아버지, 가족부양은 팽개치고 정치판에만 기웃거리는 아버지, 변변한 직장도 목표도 없이 술만 마니고 다니는 아들이 있다면? 남자들로 말미암은 거대한 균열을 바지런히 메우는 여자들. 그런데도 정숙하지 못하다고, 엄마답지 못하다고, 계산적이고 영악하다고 비난받는 여자들. 지겹도록 구태의연하지만, 여전히 유효한 여성 비하와 낙인에서 손녀와 며느리와 자기자신을 구해내는 유쾌한 할머니의 이야기. "할매가 돌아왔다"는 시대를 너무 앞섰던 소설이다.


사실 책을 읽는 동안 처음에는 위와같은 생각을 전혀하지 못했었다. 나역시 등장하는 여성주인공들이 왜 이리 억척스럽기도 모자라, 계산적인지 어머니를 비난했고, 할머니는 어쩜 저리도 뻔뻔하게 67년간이나 비웠던 자리로 들어갈수 있는지 의아했다. 하지만, 이역시 사회에 깊숙히 자리잡은 남성중심의 여성비하적인 사고가 나에게도 있음을 말해주는게 아닐까? ㅡ,ㅡ;;

왜 금강이 비단 강인 줄 아냐? 저녁때 노을이 강에 내리면 그리 많지도 않은 물살이 비단처럼 빛을 내는 거야. 그냥 환하게 빛을 내는게 아니라 비단처럼 은은하게, 고급스럽게 그렇게 반짝이고, 빛이 수면 위를 흘러다니는데, 아무튼 참 예쁜 강이란다.

아무에게나 보여주는 모습이 아니라서 더 예쁜 그런거 있잖아.

사람이 아무리 머리로 산다고 해도 가슴이 한번 동하면 머리 같은 건 정말 쌀 한 톨보다도 못한게 되더라고. 나중에 후회를 해도, 다시 그 순간이 돌아오면 어쩔 수 없이 또 가야 하는 길.

 

 

 

 

소설속 할머니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놓은 책표지의 모습처럼 할머니의 등장으로 유쾌,상쾌,통쾌하게 남성주의 사회에 주먹을 날리는게 아닐까 싶다.

독립운동을 하던 남편을 밀고하고, 일본헌병을 따라 도망갔다던 할머니의 67년만에 등장! 독립운동을 하고, 평생교육자로 살아왔던 할아버지는 할머니의 등장과 함께 그간의 고귀한 품성은 사라지고, 할머니에 대한 분노를 거칠게 또는 저급하게 내뿜는다. 할머니의 등장을 달가워하지 않던 가족들은 할머니의 60억 유산이야기에 돈에 대한 민낯을 드러낸다.

할아버지를 이어 교육자로 살았지만, 진보주의자입장에서 정치에 대한미련을 버리지못하는 아버지, 그런 아버지로 인해 평생을 슈퍼운영하며 아이들과 남편 뒷바라지를 하는 어머니, 그리고 모든시험과 입사에 낙방하고 제앞가림도 못하는 아들, 야무지게 제 삶을 살아가지만 이혼 후 경제적문제로 힘들어하는 딸이 있다.

각자만의 이유로 할머니의 60억을 탐내는 가족들..~

그리고, 할머니의 60억이 사실인지, 아닌지 밝혀내려 안간힘을 쓴다. 하지만, 정작 할머니의 긴긴 세월에 대해 궁금해하는 가족은 없는 부분에 대해 기분이 씁쓸해진다.

그 과정에서 남성위주의 우리사회 곳곳에 만연되어 있는 주위의 이야기, 돈이면 모두 해결이 될거같은 물질만능주의의 이야기들이 적나라하게 그려져 있다.

그런 사회의 가장큰 피해자가 바로 할머니 아닐까?

신분제도의 잔재속에 무참히 남성의 폭력을 견뎌야 했고, 해방이후 일본으로 건너가지만..또 일본인의 폭력에 견뎌야했던..지금 이시대의 할머니들의 이야기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뻔뻔함과 당당함으로 무장한 할머니의 등장으로 남성위주의 사회에서 무너져가던 여자라는 이름의 다른 조연들은 하나 하나 스스로의 힘으로 자신의 자리를 찾는다.

어쩌면, 지금의 이 시대를 가장 고전적인 신파로 꼬집고 싶었을지 모르겠다.

비록 고향땅을 밟지는 못했지만(밟지못한사유는 책에..)

그동안의 삶이 돌아보면 행복이었다고 말하는 할머니의 모습을 통해 매순간의 행복에 최선을 다하라고 이야기하는게 아닐까?

돌아보면 모든 것이 행복이었다. 후지오카에게 난 홍련이었다. 누군가에게 평생 꽃이었다는 것, 멋지지 않니? 스티브의 따듯한 품도 영원히 잊지 못할 거야. 하루 일을 끝내고 그의 품에 안겨 석양을 바라볼 땐 매 순간이 행복이었다. 네 할아비는 내게 열정이었다. 휘중당은, 아마 내가 홍갭이와 결혼했다고 해도 죽을 때까지 잊지못할 꿈이었을거야. 그 꿈과 사랑을 하고 이별을 하고 재회를 했으니, 정말 돌아보면 모든 것이 다 행복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