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법이 통과되었다! 역사 교과서 수정, 인터넷 실명제, 이메일과 핸드폰 감청, CCTV와 범죄자 유전자 은행 감시, 광장패쇄와 시위엄벌, 4대강 죽이기의 환경파괴, 부자감세와 세수충원을 위한 각종 서민세 증가, 그들만의 리그 관료행정...
이 모든 것의 화룡점정이 바로 미디어 장악을 통한 '여론조작 및 선동'이다. 미디어와 파시즘에 대한 공부가 올 하반기의 나만의 리스트가 되어야 할 이유는 백만가지는 될것이다.
1. 파시즘의 대중심리 - 빌헬름 라이히 : 파시즘은 독재자가 아닌 대중의 지지로 이루어 졌다는 바로 그 유명한 '대중독재'의 개념을 밝힌 일상속의 파시즘의 고전.
2. 괴벨스, 대중선동의 심리학 - 독일 국민들을 파시즘의 광기로 몰아넣은 언론조작의 귀재, 괴벨스라는 인물은 필히 연구해 봐야 한다.
3. 전체주의가 어쨋다구? (슬라보예 지첵) - 지첵의 문화를 통한 전체주의 읽기는 어떨까?
4. 다중 (네그리, 하트) - 제국으로 이루어진 세계를 다중의 힘으로 이겨낼수 있을까?
5. 여론조작 (촘스키, 허먼) - 언론은 지배 이데올로기의 선전도구인가?
6. 헌법의 풍경 (김두식) - 법치주의의 근본인 헌법의 정신으로 이 시국을 바라볼수 있을까?
7. 자유전쟁 (레이코프) - 우리에게 자유란 무엇인가?
8. 국가,정체 (플라톤) - 우리에게 국가란 무엇인가?
9. 문화과학 58호. 2009 여름, 파시즘 - 지금 이땅의 파시즘에 대한 논객들의 의견은 어떨까?
10. 감시와 처벌 (푸코) - 권력은 왜 감시를 통해 세상을 이끌어 가는가?
총
1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 감시와 처벌
미셸 푸코 지음, 오생근 옮김 / 나남출판 / 2003년 10월
23,000원 → 20,700원(10%할인) / 마일리지 230원(1% 적립)
|
|
총
1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