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란다 복제하기 사계절 1318 문고 143
캐럴 마타스 지음, 김다봄 옮김 / 사계절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은 미란다라는 완벽한, 아니 완벽했던 소녀를 주인공으로 전개된다. 미란다는 공부도, 발레도 어디 하나 빠지는 것이 없는 다재다능한 소녀이다. 부모님의 안정된 자산과 명석한 두뇌, 뛰어난 신체능력과 건강까지. 어느 하나 부족함이 없는 미란다에게 갑자기 종양이라는 시련이 찾아온다. 하지만 부모님은 미란다가 앓는 병에 대해 지나치게 의아해하다가, 지나치게 자신만만한 태도를 보인다. 확신에 찬 태도는 왠지 의심스럽다. 이 의심은 미란다가 병원에서 자신의 복제인간인 아리엘을 만나며 해결된다. 아리엘은 자신이 아플 때를 대비해 복제된, 또다른 미란다이다.


어쩌면 그냥 모른 척했을 수도 있지만, 미란다는 아리엘을 만난 이상 또다른 자신인 아리엘을 구해야겠다고 마음먹게 된다. 미란다가 자신의 인생을 선택하고 개척해 나가는 순간이다. 복제인간이라는 SF적 환상에 기반한 전개가 이루어지지만, 미란다가 자신이 누구인지 생각하게 되는 과정은 지극히 현실적이다. 항상 어떤 틀에 맞춰진 채로 완벽하게만 존재했던 것이 과거의 미란다라면, 지금의 미란다는 부모님의 말에 거역하기도 하고, 아리엘을 배려하는 선택을 하기도 하고, 또 아리엘 이후의 이브를 만나며 자신만의 삶을 만들어 간다.


네겐 영혼이 있어. 그건 너만의 것이야. 적어도 난 그렇게 믿는단다. 설령 네가 영혼을 믿지 않느다 해도, 너와 이브, 미란다는 분명히 달라. 과학이 설명해 내지 못하는 면에서 말이야(323). 이 말은 소설의 주제를 관통한다. 누군가에 의해 복제되었다고 해서 그 누군가를 위해 살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미란다, 아리엘, 이브는 모두 주어진 상황 속에서 각자의 선택을 하고 주어진 삶을 맞이한다. 이제 그 삶은 완벽하지 않다. 하지만 자신의 삶을 스스로 영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고유의 삶이 된다.


교실 속에 같은 교복을 입고 같은 교과서를 펴고 줄지어 앉아 있는 아이들을 보면 각자의 생각이 어떤지 궁금해진다. 너희의 삶을 살라고 말하면서도 획일적인 것을 가르치는 현실, 주어진 목표와 운명에 순응하는 아이들. 아이들에게 이 책은 어쩌면 이상적인 뜬구름 잡기일 수도 있으나, 삶의 부조리를 생각해 보게 하고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은 무엇인지 되돌아보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꼭 필요한 소설일 수 있다. 완벽하지 않을지라도 괜찮다. 고유하니까. 그런 말을 아이들 하나하나에게 눈을 맞추며 전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