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베라는 남자
프레드릭 배크만 지음, 최민우 옮김 / 다산책방 / 201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여기 오베라는 남자가 있다.

그는 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일어나 커피를 내려 마시고 마을을 시찰하며 주차 금지구역에 주차한 차는 없는지, 자전거 보관소는 이상이 없는지 등을 살피며 다닌다. 원리원칙을 중시하는 사람이며 자신의 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결코 쉽게 넘어가는 법이 없다. 그는 철저히 아날로그적 인간이다. 현재 분업화되고 디지털화된 사회의 가치를 무시하고 예전 것들에 대해 지나칠 정도로 고집한다. 한마디로 고리타분한 아주 고집스러운 까칠한 영감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 오베의 이웃에 한 가정이 이사를 와서 이삿짐 트레일러로 오베네집 우편함을 부서버리면서 오베의 규칙적이고 계획적인 일상을 깨뜨리면서 소설의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오베는 어렷을적 아버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부정한 방법으로 이득을 취하지도 않았고 동료를 밀고하지도 않았다. 설사 자기가 부당한 대우를 받게 되더라도 원칙을 지키며 살았다. 설사 그런 모습에 주위사람들이 "좀 느긋하게 살면 좋지 않냐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더라도 오베는 개의치 않았다. 도리어 제대로 하는게 없는 사람들로 치부할 뿐이었다. 소설은 현재와 과거를 번갈아 오가며 어떻게 오베가 이런 성격의 소유의 남자가 되었는지를 알려준다. 오베의 아버지 이야기, 오베의 아내 소냐의 이야기, 오베의 사브이야기, 오베와 하얀셔츠들과의 반목하는 모습에 대해 앙파 껍질 벗기듯이 독자들에게 조금씩 조금씩 알려준다. 그렇게 현재의 오베의 행동들의 이유에 대해 조금씩 이해하게 되면서 이 무뚝뚝하고 까칠한 남자 오베의 캐릭터에 빠져들게 된다.

 

 휴가 기간에 저녁에 너무 더운나머지 가까운 동네 서점에 가서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아 산 소설책이다. 요새 베스트셀러인줄도 모른 채 샀다. 처음엔 이 오베라는 캐릭터에 별 몰입을 하지 못했었지만 책을 읽어 갈 수록 책 내용에 빠져 들어갔다. 개성있는 캐릭터들에 빠졌고, 작가의 재치있는 묘사방법도 재미를 더해 주었다.


 "읽어줘!" 세 살배기가 흥분하여 그에게 명령했다. 들고 있던 

책을 너무 쑥 내민 나머지 오베는 하마터면 넘어질뻔 했다.

 오베는 마치 그 책이 나이지라아의 왕자가 '정말 돈이 되는 

투자처'를 갖고 있는데 '중요한 일을 처리하기' 위해 오베의 계

좌번호만 있으면 된다고 주장하는 행운의 편지라도 되는 양 책

을 바라 보았다.  

 

위의 묘사는 이웃집 세살 소녀가 읽어달라는 책에 대을 대하는 모습에 대한 오베의 반응에 대한 묘사이다.

그리고 오베의 차에 대한 견해인지 작가의 견해인지는 정확하게는 모르지만 차에 대한 견해도 재미있다.

오베는 사브만 고집을 한다. 이웃에 사는 루베가 볼보가 아닌 BMW를 샀다는 이유로 그와 상종을 하지 않았다.

다른 사람이 르노를 산다는 것에 대해 빌어먹을 프랑스제라고 말한다. 그 중에 오베가 꼽는 최악은 현대차였다. ㅋ

아래에서도 차에 대한 견해를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상황이다.


 "차를 들이 받을 뻔 했어요!" 파르바네가 헐떡이며 말했다.

오베가 앞차의 보닛 가장자리를 유심히 살폈다. 별안간 그의

얼굴에 모종의 평온이 떠올랐다. 그가 그녀에게 고개를 돌리며

무미건조하게 끄덕였다.

 "상관없어. 볼보야."


 가끔은 우리 주위에도 까칠한 성격의 소유자가 한 명씩 있다. 그런 사람들은 쉽게 다가가기 힘들다. 소설 속의 오베처럼 말이다. 하지만 가끔 그들의 진면목을 바라보게 될때 흐믓한 미소를 지을 때가 있다. 그런 오베같은 사람도 있어야 세상은 잘 돌아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