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의 경제학 카페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시민씨의 책을 몇권 읽었던 터라 중고서점에서 그의 책을 만나게 되어 구입하였으나 경제학이라는 친근하지 않은 주제 때문에 손을 대지 않았다가, 최근 이사를 준비하면서 대출금리 때문에 골머리를 쓰다보니 조금 둬야 나중에 불이익은 당하지 않겠다 싶어 책을 읽기 시작하였다.

 서론에서 부터 시작되는 그의 경제학에 대한 독설은 그의 특유의 위트를 포함한 날카로움이다. 저자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오기는 하였으나 이 책을 보면 마치 '경제학의 이단아'로 불려지더라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경제학과 현실의 괴리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그 비판은 경제학의 정의에서 부터 시작된다. 먼저 경제학이란 무엇인가? "경제학은 인간의 무한한 물질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희소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라고 정의를 다른 책에서의 정의를 빌려와서 말하고 있다. '인간의 무한한 욕구를 유한한 자원으로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제한된 자원에서 선택을 해야한다. 말 그대로 어떤 선택을 해야하는가? 에 대해 설명해 주는 것이 이게 바로 경제학이라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선택하는 인간이란 '합리적인 사고를 가진 이기적인 인간'이 모델이 전제가 된다고 말한다. 모든 경우에 수를 따지지 못하기 때문에 제한된 모델이 필요하고 그것이 이 합리적인 인간인 것이다. 하지만 그는 이 전제부터가 잘 못되었다고 비판한다. 이렇게 시작부터 경제학이라는 학문의 한계에 대해 비판적 설명을 한다. 

 하지만 경제학이라는 학문의 한계 때문에 도외시 해서는 안된다. 모든 경제 활동에 대한 이해와 풀이 그리고 대책들이 이 경제학을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비록 현실과 괴리감이 크다 하더라도. 경제학을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저자는 이러한 괴리는 인정을 하고 학문적으로 접근하지 않고 우리 일상생활을 경제학적으로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정부나 사회의 잘못된 판단과 대책들에 대해 서스럼없이 비판을 가하고 있다. 특별히 이 책을 통해 조세제도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를 할 수 있었고, 현재 조세제도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어렴풋이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책의 후반부 내용이 국제무역이나 환율로 넘어가게 되면서 나의 짧은 이해력에 한탄하게 되고 만다. 한번의 독서로는 아직 제대로 파악이 어려운게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다른 경제학 책들과는 다른 점이 있다면 보통의 경제학 책은 표면적인 경제 현상에 대해 해설을 하고 있지만, 저자는 그런 경제 현상의 이면의 이유와 현상들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당시 시사 평론가였던 저자의 세상을 바라보는 넓은 시각의 특성상 그렇지 않나 생각이 든다. 경제학이라는 것이 단순한 현상만을 보고 파악하는 것이 싶지 않고 그렇게 판단할 때 큰 오류를 범할 수 있다. 현재의 현상들을 야기한 그 이면의 근본적인 것에 대한 이해와 접근이 없다면 현상파악이 겉핥기식 일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