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록강 아리랑 - 최범산의 항일유적 답사기
최범산 지음 / 달과소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은이는 사진 작가이자, 항일유적전문가로 만주에서 벌어진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발자취를 찾아 우리 선국선열들의 눈물겨운 항일운동의 유적지 탐문을 통해 우리의 위대한 역사를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을 하고 있다. 특히 압록강 주변은 주권을 빼앗긴 뒤 수십만명의 사람들이 만주지역으로 망명을 하면서 항일독립운동을 펼친 곳으로 우리의 항일 운동이 활발히 진행된 곳이기도 하며 그 옛날 국내로 들어가기 위해선 이 지역을 거치지 않으면 안되었기 때문에 그 당시의 교통의 요충지라고 할수 있겠다. 

직접 항일 유적지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 하며 실제 현장을 방문하여 순국선열들의 발자취 나 흔적들, 묘지, 기념비들 확인 하거나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 묻기도 한다. 하지만 역사현장에 대한 보존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광복으로 인해 거주하던 조선족이 귀향을 같거나 중국 이주 정책등으로 인해 한족들이 이주해 옮으로 인해 항일독립운동에 대한 알고 있는 사람이 없거나 역사적 장소에 대한 무지나 개발로 인해 훼손된 경우로 실제 그곳을 찾기란 여간 어려운게 아니었다. 많은 노력끝에 찾은 선열의 묘지나 발자취들은 아무도 관리하는 사람이 없어 폐허나 다름없이 형편없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그럴때마다 선열들의 항일역사가 우리세대에서 잊혀져가고 있다는 안타까움에 작가는 한없이 부끄러워 했다.


p20 


작가는 항일 역사와 유적에 대해 무관심한 우리들의 자세, 그리고 그것을 지키지 못하는 무기력하고 무능력한 조국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독립은 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하다는 세간의 말들이 너무나 자연스럽게 실현되고 있는 지금, 젊은이들이 올바른 역사 인식가지고 선열들의 무한 희생을 통해 지금의 대한민국이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되새겨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 나가길 바라는 심정으로 이책을 섰다고 머릿말에서 밝히고 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2010년 한일 축구경기가 상암경기장에서 펼쳐 졌을 때 경술국치 100년을 기념하여 일본의 욱일승천기에 대응하여 응원석에서 플랜카드로 펼쳐든 문구이다. 원래 이 것은 독립기념관에 걸려 있는 문구를 인용한 것이다. 

  


독도나 센카쿠열도(다오위다오) 등 영토문제로 국제 사회에 동북아시아가 다시 한번 주목을 끌고 있다.

일본은 영토권문제나 위안부에 대한 불인정, 야스쿠니 신사참배 등 역사에 대한 인식이 항상 동일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은 그릇된 행동에 대한 역사적 인식의 문제가 상당하다. 하지만 그것은 일본의 문제이고 우리는 어떠한가?

과연 우리는 위의 문구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작가가 본 만주에서의 항일 유적지 실태에 의하면 우리에게도 문제가 많이 있다.

특히 친일의 잔재를 확실히 털고 가지 못하고 60년의 세월이 지난 점이 가장 큰 문제이지만,

젊은이들의 대학진학, 취업, 결혼에 떠밀려 역사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 그리고 역사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이 뒷받침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또 다른 문제점이다. 그동안 내가 알고 있는 항일의 역사는 아주 단편적인 것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부끄러웠으나 이 책을 통해 많은 독립투사를 만나게 된어 다행으로 생각한다. 그 중에 특히 푸른눈의 아일랜드 출신의 '조지 쇼우'가 독립 투사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다는 사실은 교과서를 통해서는 알 수 없었던 좋은 발견이었다. 

 이 책을 통해 앞으로 우리 역사를 어떻게 보존하고 발전시키고 교육시킬건지에 대한 사회적 고민, 합의, 계획의 부재의 근원적인 문제에서부터 개선되어지는 그런 첫걸음이 되길 희망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