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 / 김영사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정의(正義)?"

내가 생각하던 정의는 "사람이라면 꼭 해야할 옳은 일을 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럼 옳은 일은 무엇인가? 그것의 기준이 무엇인가? 라고 한단계 더 질문하게 되면 대답이 궁색해 진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의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을 알수가 있었다.

공리주의적 시각으로 부터, 자유 방임주의,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사고까지.

하나의 사건에 대한 옳고 그름에 대한 다양한 시각의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야기하면 권리와 의무, 공동선에 대한 입장차이에 따라 여러 주장이 나올수 있는데

작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텔로스적 사고방식에 손을 든다.

왜냐하면 최대행복의 목적으로 하는 공리주의는 다수의 행복을 위해 개인의 권리는 무시되는 경향이 있고

너무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우선시 하는 자유주의적 사고방식은 결국 공동체라는 환경을 고려의 대상에서 제외한다.

결국 우리의 실생활에 근접한 정의에 대한 사고 방식은 공동선을 추구하는 목적론적 사고방식밖에 남지 않게 된다. 


저자는 딜레마적인 요소로 부터 독자의 생각을 이끌어 내는데 탁월한 재능을 지닌 것 같다.

최근의 현안이 되고 있는 사회의 문제들에 대해 독자들에게 생각의 여지를 부여해 주기도 하고

각 문제들에 대해 각각의 사고 방식으로 부터 주장을 이끌어 내고 또 거기에 다른 시각에서의 반박의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기함으로 독자들에게 다시 한번 그 문제들을 돌아보게 만들어 준다는 점에서 더욱 훌륭하다고 할 수 있겠다.


올해 초 유시민의 '국가란 무엇인가?' 라는 책을 접했는데 (순전히 내 생각이지만) 아마도 이 책에 대한 영향으로 

국가가 국민들에게 어떻게 해야하는 것이 정의로운 것인가에 대한 의문 제기 및 답을 내어 놓은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해본다.


최근 우리사회에 많은 사회적 이슈가 있는데, 그것을 풀어가는 방법들이 너무 단순일로에 치우쳐 있다.

공론화 하여서 철학적 사고를 통한 의견수렴 절차가 필요한데, 속도 위주의 결정 및 진행 등으로 인해 많은 것을 잃어 가고 있다.

물론 속도도 중요하지만 늦게 결정해서 잃는 것보다 조급함으로 잃게 되는 것이 더 크고 문제가 심각하리라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빠른 결정은 결국 최종의 목적인 공동선에 대해 더 많이 고려하지 못하고 

일부 이익들에 대해서만 단편적인 반영을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시각으로 사회의 문제들을 바라 보고 의견 수렴하는 절차들이 꼭 필요하다.

그것이 공동선을 이끌어 낼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