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상식 충전소
최진기 지음 / 한빛비즈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GDP(Gross Domestic Product)와 GNP(Gross National Product)의 차이? 
국내 총생산(GDP)과 국민 총생산(GNP)의 차이에 대해 이번 책을 통해 알게 되었다.
그래서 예전에 박찬호 선수의 연봉과 GDP는 무관하다는 말을 듣고 갸우뚱한적이 있었는데 그 차이를 알게 되었다.
 

<경제상식 충전소> 책의 제목과 같이 실제 경제의 상식을 충전해 주는 어렵지 않으면서도 그렇다고 가볍지 않은 경제 입문에 도움이 되는 책이다. 크게 금융 / 경제지표 / 증권 / 부동산 / 경제정책 / 국제경제 등의 대 주제로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경제 원칙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한미 FTA, 보금자리 주택, KIKO, COFIX등 최근에 이슈화된 내용에 대한 설명이 부가되면서 보다 실질적인 이해를 주는 장점이 있다.
 솔직히 뉴스나 신문의 경제면만 보면 골머리가 아파오는 아주 탈(脫)경제에 빠져있는 나에게는 마치 우물속에서 웅크리고 숨어있는 사람에게 손을 지긋이 내밀어 주는 것과 같은 구원의 손길이 아닐수 없다. 주식의 그래프만 보더라도 "이거 뭐가 이리 복잡해" 라고 고개를 절래절래 흔들기 일쑤였지만 그래프의 의미를 차근차근하게 설명해 주는 순간 과장되게 말해서 눈이 밝아지는 듯한 개안의 느낌을 받았다.
 저자는 단순히 경제지표, 상식들에 대한 설명에만 그치지 않는다. 그 지표들이 얼마나 잘 못 계산되고 있는지. 필요한지 불필요한지에 대한 비판도 같이 함으로서 독자로 하여금 생각의 사고를 넓히고 있다. 저자는 머릿말에 언급한 것 처럼 단순한 경제 상식, 용어를 설명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경제를 생각하는 힘' 그리고 비판적 사고을 더함으로 다순한 앎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풀어나가게끔 우리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 일반적인 열러가지 경제상식과 더블어 각 파트별로 재미있는 경제 이야기(에피소드)를 삽입해 놓음으로서 경제 상식에 대한 재미를 더하고 있는것 같다. 그리고 챕터의 마지막에 나오는 촌철살인적 한마디는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껴지는 것은 또 하나 경제원칙을 단순히 표면적으로 바라볼게 아니라 입체적으로 다각도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어떤 변경이 생겼을때 그것의 생김에 대한 파생적 효과까지 감안해야한다는 점에서 경제학이라는 것이 단순한 학문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표면적인것 뿐만 아니라 그 속에 숨겨진 것을 얼마나 더 생각하고 분석해야하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작년에 대출을 해서 집장만을 했었다. 집을 살때만 해도 근처의 조건들이 좋게만 보였고 경기가 좋아지면 집값도 상승할 것이라 생각되어 이 때 아니면 언제 살수 있겠는가? 라는 기대 속에 매입을 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때 나는 아주 표면적인 것만 보고 의사 결정을 했었다. 이자 부담에 집값 하락 등으로 후회는 되지만 좋은 경험을 했다고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