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움직이는 100가지 법칙 - 하인리히에서 깨진 유리창까지
이영직 지음 / 스마트비즈니스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법칙이란 특정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검증된 이론이며, 하나의 근본적인 이치나 원리를 다른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일반화 시킨 설명이다. 저자는 세상에서 많이 통용되고 있는 법칙들을 한데 모았다. 유명한 학자들이 증명해낸 법칙들, 그리고 사회학자들이 발견한 법칙들 때론 일반인들이 발견한 법칙들까지 세상에는 너무 많은 법칙들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법칙들이 중요한 까닭은 아마도 이런 법칙들을 이용하여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는데 있을 것이다. 아무리 중요한 법칙이라도 더 이상 유지되지 않고 과거의 산물이라면 우리에게 중요할 이유가 없다. 미래에도 통용가능한 법칙이라야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많은 법칙을 우리에게 소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바로 나름 자기의 생활에 활용하라는 의미이다. 활용하지 않는 지식은 의미가 없다. 어떻게든 내 삶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법칙들을 선택적으로 골라내어 이용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책이라고 저자는 서문에서 언급한다. 모든 법칙들을 우리가 이해할 필요는 없다. 다만 저자의 목적대로 내 삶을 더 쉽게 좋은 방향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도구로서 이책을 활용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이 된다. 저자는 단순히 법칙만을 설명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사회에 또는 기업에 법칙들을 대입하여 기업경영에도 어떻게 활용될지 에 대해서도 간략하게나마 설명을 하고 있다. 상식을 넓히는 목적으로 그리고 그러한 상식을 유용하게 지혜로서 활용하는데 이책이 도움이 될 것 같다. 

하기는 책에서 설명하는 법칙들을 몇가지 간단히 추려 내었다. 참조하기 바란다.  

<세렌디피티의 법칙>
"세렌디프의 세왕자" 라는 동화책에서 왕자들은 전설의 보물을 찾아 떠나지만 보물을 찾지 못한다. 하지만 그들은 보물 대신 연이은 우연으로 인생의 훌륭하게 살아 갈수 있는 지혜를 얻는다는 내용이다. 여기서힌트를 얻어 준비된 우연을 세렌디피티의 법칙이라 부른다.
파스퇴르 -우연은 준비된 자에게 미소 짓는다.

<마이너리티 인플런스 현상>
개인의 의지가 집단의 의견을 변화시켜가는, 소수파가 다수파를 움직이는 심리작전이라 볼 수 있다. 다수의 위세에 눌리지 않고 자기 소신을 펴는 것은 누구에게나 필요한 것이다. 이런'영광스런 고집'에 대부분 사람들이 나쁜 생각을 품기보다 박수를 보내는 경우가 많은데 다수의 의견은 사름을 따르게 하지만 소수의 의견은 사람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가끔식 이런 논리들을 정치권에서 찾아 볼 수가 있다. 최근에 세종시를 둘러싼 여권의 갈등이 마치 마이너리티 인플런스 현상을 보여 주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해본다. 

<뉴턴의 운동방정식, 관성의 법칙> F힘(force),m질량(mass), a가속도(acceleration)
뉴턴의 방적식 F=ma 에서 a에 '0'을 대입하는 경우가 관성의 법칙이다. 즉 외부로 부터 새로운 힘을 가하지 않으면 정지한 물체는 계속정지하고, 움직이는 물체는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을 계속한다. 이것을 저자는 경영학적인 접근 방식으로 풀어서 기업에 새로운 에너지를 가하지 않으면 움직이지 않거나 이전까지의 움직임만 하려 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a를 동기부여로 해석하였다. 꿈과 비전을 제시하여 이를 공유하여 사람들을 움직이게 나아갈 수 있는 꿈을 공유하라는 의미이다.

<하인리히 법칙과 깨진 유리창의 법칙>
하인리히는 보험회사에 일하면서 일종의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동일한 지점에서 경미한 사고가 자주 발생되었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논문을 작성하였다. 말그대로 대형사고가 발생되기 이전에 전조현상이 발생된다는 이론으로 2008년에 스촨성에서 대지진이 발생되기전 두꺼비가 거리로 나온다던지 지하수나 우물이 범람한다던지의 전조현상이 실제 발생되었었다. 이런 하인리히 법칙을 역으로 생각한 것이 바로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다. 깨진 유리창의 법칙이란 사소한 잘 못을 방치해 두면 후에 크게 잘 못 된다라는 내용으로 미국의 심리학자 교수가 두대의 차량으로 낙후된 골목에 하나는 본닛만 조금 열어둔체 다른 하나는 본닛과 유리창을 조금 깨뜨린체 방치한 결과 본닛만 열어둔 차는 멀쩡했으나 유리창이 깨진 차량은 배터리와 타이어를 빼어가고 사방에 낙서가 되어있더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착안해 뉴욕 경찰 당국은 범죄를 줄이기 위해 지하철 낙서를 없애기 시작했고 5년뒤 낙서가 다 사라진 시점에서 중범죄의 75%가 줄어드는 결과를 낳았다.

 <No Risk, No Return>
경제학에서는 질량보존의 법칙이 적용된다. 이익을 위해서는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주식시장에서 큰 돈을 벌기위해서는 저점에서 투자를 해야한다. 하지만 주식이 폭락했을때 투자를 한다는 것은 자칫 휴지조각이 될 수도 있는 위험을 감내하여야 한다.
 

<펭귄 효과>
펭귄의 새끼를 낳고 기르는 과정에서 암컷이 먹이를 찾기 위해 바다로 갈때 바다사자로 부터의 위험을 받는다. 하지만 알을 낳기까지 먹이를 먹지 못했기 때문에 배고픔을 참지 못한 한마리가 먼저 바다에 뛰어든다. 그러면 바로 바다사자의 먹이가 되고 만다. 이후로 나머지 펭귄들이 기다렸다는 듯이 바다로 뛰어들어 먹이를 찾게된다. 이런 펭귄 효과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강하게 나타난다. 말 그대로 눈치를 보는 것이다. 최근에 아이폰이 출시되고 살까 말까 고민하는 모습 그리고 사용후기들이 인터넷에 선을 보이면 그때 부터 너도나도 사기 시작한다. 이 때 주위에 아는사람이라도 구입하게 된다면,,, 더이상 말이 필요없다. 이런것을 마케팅의 펭귄효과라 한다. 

<역발상의 법칙>
싸움의 규칙을 자기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바꾸어라. 그러면 승리는 나의 것이 된다. 케논의 경유 니콘과의 경쟁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화소 경쟁을 벌였으나 이에 승산이 없다고 판단, 디자인과 품격, 편리성으로 바꾸었다. 그리하여 시장의 흐름을 바꿀수가 있었다. 역발상의 사례은 여러가지가 있다 일본의 어느 현에서 사과 농사를 하던 농민들이 어느해 태풍이 불어 사과의 90%가 떨어졌다. 하지만 이에 낙망하지 않고 초속 50m의 태풍에도 견딘 사과라 하여 '합격사과, 회복기원 사과'라 명명하여 10배가 넘는 값에 팔았다. 전국의 수험생과 병원에 입원한 환자 가족들이 부적처럼 사과를 구입했다. 농민들은 풍작 때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다. 

<치킨게임>
1950년대 미국 갱단 사이에서 유행했던 게임이다. 좁은 도로에서 자동차를 마주보며 달리는 게임방식으로 운전대를 먼저 꺾는 쪽이 지게된다. 두사람 모두가 핸들을 꺾지 않는 다면 충돌로 이어지게된다. 최근에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의 경쟁이 바로 이러한 치킨게임으로 세계랭킹 5위 키몬다사가 파산에 이르고,  대만의 메모리 업체들도 휘청이면서 랭킹 1,2위인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반도체가 반사이익을 얻게 된것이다. 

<자기암시의 효과- 피그말리온 효과, 플라세보 효과>
피그말리온은 그리스시대의 뛰어난 조각가로 자신이 상상하는 이상형의 여인상을 조각하여 조각상과 사랑에 빠졌다. 그리고 아프로디테에게 이 조각상을 사람으로 만들어 달라는 간청을 하게되고 이러한 정성에 아프로디테가 감동을하여 조각상에 영혼을 불어넣어주었다. 간절한 염원이 있으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피그말리온 효과이다. 플라세보 효과는 1,2차 세계대전중 의약품이 부족하게되어 가짜약을 진짜인것 처럼 처방해며 '특효약'이라고 혼자들을 속였는데 이를 먹은 환자들의 상태가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다. '특효약'을 먹었으니 좋아질거라는 환자의 자기암시에 의해 상태가 호전된 것이다. 이를 플라세보 효과라 한다. 'Dream is now here.(꿈은 여기에 있다)' 이라는 말도 부정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에게는 'Dream is nowhere(꿈은 어디에도 없다)' 로 보이게 된다.
 

<250명의 법칙>
미국의 자동차 판매왕의 이야기이다. 어느 날 어느 결혼식에 참석했는데 참석한 인원들을 헤아려 보니 약 250명 가량이었다. 그 이후에도 다른 결혼식에 참석했을 때에도 결과는 비슷하였다. 그것을 토대로 한사람의 인맥의 정도를 250명로 판단하였고 만약 한사람의 고객을 얻는다면 250명의 잠재고객을 얻을수 있다 생각하였고 반대로 한사람의 고객을 잃는다면 마찬가지로 250명의 잠재고객을 잃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을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