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 만드는 아이들 - 어린이를 위한 민주 시민 교육 동화 한경 아이들 시리즈
옥효진 지음, 김미연 그림 / 한경키즈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법 만드는 아이들>

옥효진 글 
김미연 그림 
한국경제신문 출판 


옥효진 선생님의 신작 <법 만드는 아이들>이 나왔다. <세금 내는 아이들>을 워낙 재미있게 읽었기때문에 요즘도 어떻게 하면 집에서 세금 내는 아이들처럼 할 수 있을까 궁리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옥효진 선생님처럼 할 수 있는 분을 아직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법 만드는 아이들>에는 6학년 1반 아이들이 나온다. 그래서 6학년 사회 교과를 가르쳐주기 위해 교실에서 국가를 만들고, 대통령 선거를 하고, 법을 만들기 시작했던 것 같다. 큰 아이가 초등학교 6학년이라서 사회 시간에 국가, 정부, 법 등을 배우고 있는데, 아이들이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단어들이 많이 나왔다. 

 정치에 관심 있어 하고, 뉴스나 신문을 많이 본 학생들은 쉽게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겠지만, 대부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단어만 외우고 넘어간다. 큰 아이가 사회 교과서 1단원을 공부할 때 <법 만드는 아이들>을 읽게 되었다. 아이가 읽자마자 요즘 배우는 사회 교과과정이 나온다고 얼마나 반가워하던지 읽고 또 읽었다. 물론 <세금 내는 아이들>도 10번 정도 읽었다. 아이들이 읽고 또 읽는다는 것은 재미있다는 뜻이다. 이번에는 6학년 1반 친구들이 독립국가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어떤 일이 벌어질까 시작부터 너무 기대가 된다.

선생님은 다양한 직업을 칠판 가득 적은 다음 아이들에게 직업을 하나 선택해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직업에 따라 월급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아이들은 어리둥절하면서도 신나는 일이 생길 것 같아서 즐거워했다. 이번에는 직업에 대통령도 있고, 국무총리도 있다. 반 회장이 대통령이고, 부회장이 부총리, 국무총리는 대통령이 지목한 사람이 할 수 있다. 우리도 학기 초에 학급 회장 선거에 나가기 위해 공약도 준비하고 연설 준비도 한다. 활명수 나라 6학년 1반에서는 대통령 선거를 한다니 생각만 해도 설레고 굉장하다. 활명수 나라의 대통령 후보로 나온 친구들은 어떤 공약을 했을까?

투표를 해야 하는 친구들은 대통령 후보로 나온 친구들의 발표를 들으면서 지킬 수 있는 공약인지, 나라에 도움이 안 되는 공약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후보의 공약을 듣지 않고, 친한 친구에게 한 표를 주거나 자신의 욕심을 채우기 위한 공약을 발표한 친구에게 표를 줄 수도 있다. 하지만 친구들과 선거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면서 국가를 위하고, 국민을 위한 대통령이 누구인지 생각하며 자연스럽게 깨닫게 된다. 대통령 선거는 끝났지만 곧 지방선거가 다가오니 아이들과 미리 읽어보고 이야기 나누면 좋을 것 같다. 그래야 나중에 어른이 되어서도 나라를 위해, 국민을 위해 일할 사람에게 나의 소중한 한 표를 줄 수 있을 것이다.


<법 만드는 아이들>은 총 6장으로 되어있다. 1장은 국가에 대해, 2장은 법에 대해, 3장은 세금과 헌법에 대해, 4장은 국민의 의무와 정당에 대해, 5장은 삼권분립에 대해, 6장은 나라가 국민을 어떻게 도와주는지, 더 살기 좋은 나라에 대한 내용으로 되어있다. 각 장 마지막에는 '활명수 정치 상식 한 스푼'이라는 코너가 있는데 사회 교과과정에 나오는 단어에 대한 설명이나 아이들에게 필요한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들어있다.



 우리 아이들은 <세금 내는 아이들>을 읽으며 경제를 배웠고, <법 만드는 아이들>을 읽으며 정치에 대해  배웠다. 아이들 눈 높이에 딱 맞추고, 재미있는 스토리에 초등 사회 교과과정까지 들어있기 때문에 사회를 어려워하는 초등 고학년 친구들에게 강력 추천한다. '활명수의, 활명수에 의한, 활명수를 위한'세상에 단 하나뿐인 교실에  나도 참여하고 싶다. 

 
 
#법만드는아이들
#정치  #시민교육동화  #사회교과과정
#초등동화  #초등동화추천  #옥효진
#한국경제신문  #서평이벤트
#책세상 #맘수다 #책세상맘수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지만,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