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존감을 키워주는 하루 한장 초등 글쓰기 하루 한장 초등 글쓰기
박재찬(달리쌤) 지음, 김영주 그림 / 테크빌교육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 한장 초등글쓰기 글씨가 크게 적어져있지만 위쪽에는 자존감을 키워주는 이라는 문구가 있다. 마음이 튼튼한 아이가 행복하게 자란다라는 문구가 눈에 들어온다. 우선 지은이는 달리쌤이라고 불리우는 초등학교 선생님이다. 나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질문을 담았다고 말하고 많은 학생들이 자신을 잘 알게 되고 스스로를 더욱 사랑할 줄 아는 사람으로 자라나길 바란다라는 글쓴이의 말처럼 내용이 참 정겹고 사랑스럽다. 장을 넘기면 학생들 스스로 약속을 적을 수 있도록 예시와 빈칸이 보인다.  특히 글쓰기가 나에게 어떤 도움을 주는지 옆 예시를 보고 써보기도 하고, 새롭게 내용을 변경해보도록 하여 아이들과 함께 진행하면 학생들이 글쓰기가 어렵지 않다고 생각하도록 구성해놓았다. 특히 아이들이 보상 문제가 참 어려운데, 이 책에서는 보상을 넣어 학생들의 목표의식을 세울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하루 한 장 20분동안 자존감 글쓰기를 해보라는 도전의식을 심어주며 그 다음장을 넘기면 드디어 예시를 넘어 1편의 역사적인 장이 나온다. 그런데 어라~~! 글쓰기가 아니라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처음을 어렵지 않게 접하도록 내가 좋아하는 색깔로 그림을 그려보라는 주제가 참 마음에 든다. 그리고 아래에는 다른 사람에게 공유하여 멋진 생각, 멋진 문장, 멋진 단어를 칭찬해볼 있도록 하여 글쓰기의 공유 기쁨도 알도록 구성해놓았다. 어렵지 않게 하루 한장 할 수 있다는 메리트를 생각하며 아이들과 함께 도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부터 국수 기계 사용 금지! 꿈터 지식지혜 시리즈 63
제이콥 크레이머 지음, K-파이 스틸 그림, 윤영 옮김 / 꿈터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부터 국수 기계 사용 금지라는 동화책은 제목처럼 무엇인가 안해야할 일이 일어나고 있는 분위기를 풍긴다. 속표지 속에는 다양한 물건들이 정리되어 있다.  첫장을 넘기면 국수광코끼리와 파리  등 그 친구들이 척척 만을 국수 기계의 커팅식을 하는 장면이 나온다.  모두들 웃고 있으며 국수광 코기리와 친구들은 이 기계를 모두가 쓸 수 있도록 마을에 기증하여서인지 그 기계를 보는 동물들의 눈에는 호기심과 설레임이 가득 들어있다.  이 국수 기계는 기계에 베개를 넣으면 라비올리가, 신발끈은 스파게티로 변신하는 엄청난 기계이다. 이 친구들이 사는 곳은 이름만큼 행복한 행복마을이다. 어는 마을이나 그렇듯 행복마을의 모든 동물이 행복한 것은 아니었는데 캥거루들은 자기들이 마을을 마음대로 하던 때를 그리워하며 새9로운 이웃들이 와서 노는 모습을 불평불만 가득한 얼굴로 보며 시장에게 가서 항의도 하는 그림이 나온다. 국수광 코끼리는 마을에 모여드는 손님들을 보며 자기도 세계를 여행하고 싶어져 배를 타고 가려고 배에 오르는데 반대로 이 이야기의 중심에 있는 오카피는 배에서 내리며 잘난체 하며 이 다음날을 암시한다. 

선장은 돈이 최고인 줄 아는 오가피라고 말하며 행복마을이 앞으로 대 변화할 것 임을 예고한다. 국수광 코끼리가 간 후 오카피는 시장에게서 공동으로 사용되던 그 기계를 돈을 주고 사는데 그 기계로 행복마을을 황폐하게 만드는 데 과연~~~! 이 이야기의 결말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난다! 한국사 인물 100 2 - 삼국 전기 : 싸우면서 힘을 기르다 빛난다! 한국사 인물 2
박윤규 지음, 백두리 그림 / 시공주니어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을 빛낸 인물 100 등 한국사를 빛낸 여러 인물들에 대한 책이 많다.

 이 빛난다! 한국사 인물 시리즈는 한권으로 묶지 않고 10권으로 분철하여 1. 상고시대를 시작으로 10권 일제 강점기 까지 시대별로 인물들을 소개하고 있어. 인물 중심이지만 시대의 흐름도 가늠케하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우선 빝난다! 한국사 인물 2는 삼국 전기로 소주제가 싸우면서 힘을 기르다로 고구려와 백제의 전성기 왕인 근초고왕과 광개토대왕뿐만이 아니라 을파소, 이사부와 거칠부, 왕인, 우륵 등 왕을 떠나 음악가, 학자, 장군 등 잘 몰랐던 인물에 대해서도 안내가 된 책이라 할 수 있다. 전설로만 알고 있던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이야기는 참 안타깝고 답답하기만 하다. 또한 진대법으로 유명한 을파소에 대해서는 그저 똑똑한 재상으로만 알고 있지만 고국천황 시대에 어떻게 읖파소가 한낱 시골농부에서 국상이 되어 고구려를 다스렸는지에 대해 자세히 안내되어 있다. 또한 고구려의 을불과 창조리라는 인물은 많이 생소하지만 이야기를 읽다보면 고구려시대에 이러한 인물도 있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된다. 다양한 인물에 대해 접하고 싶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 관람차 그림책이 참 좋아 79
김성미 지음 / 책읽는곰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에 어린왕자 토끼 외계인 강아지 등 다양한 캐릭터들이 탄 우주 관람차가 나오는데 배경이 우주이다. 게다가 우주선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제목을 향해 날아들고 있다. 표지에서부터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책을 넘기면 분홍색의 속지로 되어 더욱 몽글몽글한 상상력을 기대하며 넘기게 된다.파스텔톤의 그림에 머리색이 아닌 선으로 표현된 머리를 한 놀이공원에 있는 우주관람차가 마지막 운행을 한다는 소식에 가족이 표를 사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우주에 관심이 많은 지 남자어린이가 우주관람차를 향해 달려가고 있는데 왼손에는 우주선이 들려서 뛰어가고 있고 뒤에서 부모님은 바라보며 ㅇ주관람차를 향해 걸어가고 있다. 우리가 알 듯 우주관람차는 하늘 높이 돌아가며 흔들흔들 하늘로 올라가고 있다. 아이의 당연한 질문... 우주관람차를 인제 못탄다는 말에 이 우주관람차는 어떻게 되는거야? 하는 질문에 부모님은 아이의 질문을 돌리며 다른 것을 타러 가자고 하며 이곳을 떠난다.  과연 이 우주관람차는 이 아이의 시선에서 볼 때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 여기에서부터 이책의 본격적인 상상력이 시작된다. 과연 우주관람차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리고 그 이후의 이야기는? 이러한 궁금증을 아이와함께 한다면 전혀 다른 이야기로의 세계로 들어갈 수도 있을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실 한구석에서 시작하는 학교 공간혁신 - 학교, 삶과 배움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을 디자인하다
한현미 지음 / 맘에드림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교사로 공간에 대해 고찰한 책이기에 참 남다르다. 획일화된 공간에서 창의적 인재를 키울 수 있다는 착각이라는 제목의 프롤로그에서도 알 수 있듯 수십 년 전 교실과 크게 달라진 곳을 찾기 어려울 만틈 너무나도 똑같은 학교 공간의 모습에서 21세기와 동떨어진 공간을 보게 된다. 창의적, 융합적 사고 능력을 키우려면 다양한 공간에서 생활하며 다양한 것을 보고,만지고, 느낄 수 있어야하며 좀 더 다양한 모양의 교실, 다양한 높이의 층고, 다양한 모양의 책상과 의자가 놓여야한다고 말한다. 그러기에 책 구성을 보면 글쓴이의 고민과 우리의 방향을 알 수 있다.

1부에서는 우리가 어떤 공간에 머무느냐에 따라 즐거워지기도 하고, 우울해지기도 하는 다양한 사례와 연구 결과들을 통해 공간의 중요성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2부에서는 공간혁신의 주체가 되어야할 아이들과 교사들 나아가 앞으로 학교가 지역사회에 문을 열고 마을 교육공동체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아갈 것을 고려한다면 지역사회 주민들 또한 공간혁신의 주체가 될 터인데 이런 주체와 공간혁신을 진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다루었다.

3부에서는 성공적인 공간 혁신의 밑거름이 되는 공간 수업을 어떻게 진행했는지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를 담았다.

4부에서는 공간혁신의 방향에 대한 내용으로 스스로 방향성을 탐색해볼 수 있도록 다양한 각도에서 살펴본다. 공간혁신이 추구하는 방향을 잃어버리지 않고 개별 학교의 다양한 상황에 맞게 의견을 모을 있는 것에 대한 아이디어를 나눈다.

5부에서는 다양한 공간 혁신 사례들을 소개한다. 특히 학교를 나누어 교실, 도서관, 복도, 계단, 운동장, 특별실, 교무실, 행정실, 화장실 등 공간별 혁신의 방향과 함꼐 사례를 제시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