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 속에 숨은 수학 2 : 확률과 통계 봄나무 과학교실 22
송은영 지음, 박인숙 그림 / 봄나무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태풍이 올라오는데 오늘 우산을 가지고 가야 할까? 말아야 할까?' 처럼 일상 속에서 흔히 하는 질문들이 있다. 과학, 수학 같은 개념들이 우리 일상 속에 얼마나 많이 있는지를 알면 놀랄 것이다. 무심코 지나치는 일상 속에 담겨 있는 다양한 개념들에 집중해 보자. 과학 시리즈인데 속담이 나오고, 수학을 알려주니 뭔가 다 섞인듯한 기분이 든다. 속담을 들여다 보면 예측과 가능성, 확률에 대한 것들이 남겨 있다. 속담을 배우면서 우리의 조상들이 어떤 고민을 했고, 무슨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는지를 배울 수 있다.

봄나무 과학 교실 시리즈 2권은 확률과 통계를 담고 있다. 확률은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서을 말하는 것이고 통계는 그 일이 일어난 현상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숫자로 보여주는 것이다. 아이가 수학을 배우면서 통계나 도표 등을 접했었는데 이번에는 속담 속에 수학 개념이 담겨 있어서 색다른 느낌이다. '우물 가에 가 숭늉 찾는다',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같은 속담 속에는 확률이 담겨 있다. 개념만 이해하면 딱딱하다 느낄 수 있는데 이렇게 속담 속에 있는 개념을 접하니 쉽게  이해가 된다.

속담 속에는 삶의 지혜가 담겨 있다. 오늘날에는 문명의 발달로 날씨를 예측하거나, 통게를 내기 쉽지만 예전에는 쉽지 않았다. 그런데도 비나 눈이 올지 어떻게 알았는지 신기하기만 하다. 속담 공부도 하고, 수학 개념 이해도 하고, 과학적인 사고를 하니 두루 활용하기 좋은 책이란 생각이 든다. 딱딱하지 않아서 아이도 재미있게 본다. 융합적 인재를 요구하는 요즘 시대에 다양한 영역으로 접근하기 좋은 책이다. 우리 조상들의 멋스러움을 만나는 시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