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찬 딸 ㅣ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33
김진완 지음, 김효은 그림 / 시공주니어 / 2011년 4월
평점 :
’기찬 딸’이란 제목을 보고는 생소한 느낌이 들었다. 말할 수 없을 만큼 좋거나 훌륭하다는 ’기차다’ 뜻은 아닌 것 같은데 대체 무슨 뜻인지 궁금해진다. 책을 읽어 보니 왜 기찬 딸이라 말하는지 알 수 있었다. 첫 장을 열면 ’우리 엄마 이름은 다혜, 문다혜입니다’ 란 글귀가 나오고 기차가 등장 하는데 이 속에 비밀이 있다. 완행 열차 속에서 진통을 느끼는 외할머니는 기차 속에서 아이를 낳는다. 많은 사람들이 자기 일처럼 나서서 도와주었고, 그 탄생을 기뻐해준다. 그 모습을 보고 있으니 처음 아이를 낳을 때의 날이 떠오른다. 긴박했던 그날을 떠올리면 아직도 가슴이 두근거릴 정도다. 그런 뒤에 만난 아이라서 얼마나 감사했는지 모른다.
’기찬 딸’은 기차에서 태어난 딸이란 의미도 있지만 한 생명이 세상으로 나오기 위해선 다른 이들의 도움이 있어야 하고, 서로 기를 나누면서 살아가는 것이란 것을 알 수 있다. 기차 안에서 아이가 태어나자 내 일처럼 기뻐하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이웃들이 있어 우리의 삶은 더 따뜻해진다. 그래서 우린 혼자가 아니다. 같이 살아가야 할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다. 아이의 이름을 지을 때도 많은 사람의 많은 은혜를 입었다고 다혜라고 짓는 것을 보면서 고마운 사람들을 잊지 않으려는 그 마음까지 느낄 수 있었다. 생명이 태어나는 신비로움과 함께 기쁨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우리 걸작 그림책이라서 더욱 정겹게 읽을 수 있는 책이다. 한 생명이 태어나는 일은 기적 같은 일임을 다시금 느끼게 된다. ’몸만 건강하모 희망은 있다’ 여장부예요. 기찬, 기-차-안 딸이거든요’ 이 글귀가 참으로 희망적으로 들린다. 우리 모두는 건강한 기찬 딸 같은 존재들이다. 아이에게 네가 얼마나 소중한지, 네가 태어나서 얼마나 행복했는지를 들려줘야겠다. 그때의 초심을 잃고 많이 달라진 엄마로서의 내 모습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서로를 돕고 따뜻한 마음을 나누며 살았던 우리 조상들의 미덕이 요즘엔 더욱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주변에 관심을 기울이고, 내 일처럼 아파하고, 기뻐해주면서 서로를 위해 살았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