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 - 독서의 즐거움
정제원 지음 / 베이직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교양은 뜻은 학문, 지식, 사회생활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품위. 또는 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말한다.' 즉 교양인은 그런 교양을 갖춘 사람이다. 교양을 쌓는 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 '독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어릴때 읽은 한 권의 책으로 인해 인생이 달라졌듯이 책이란 한 사람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곤 한다. 책을 읽을때면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고 제일 행복했는데 요즘은 잡념이 많아진다. 그만큼 독서의 즐거움을 잃어가는 듯 하다. 책이 주는 즐거움에 푹 빠져들지 못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아이 키우면서 책을 읽기가 힘드니 가벼운 책들만 접하니 독서 편식을 하게 된다. 오히려 학창시절에 문학성이 있고, 단계가 높은 책들을 읽었는데 요즘은 재미 위주로 가는 듯 하다. 그나마 그렇게라도 읽는게 낫긴 하지만  이왕 읽는 것이면 양서를 읽고 지식을 넓혀가는 것이 나태해지지 않고 성장할 수 있기에 어떤 책이 좋은 책인지 고민하게 된다. 그러다 접한 한 권의 책이 해답이 되었다. '나는 누구인가?', '지식을 어떻게 확장하는가?', '작가는 누구인가?'를 주제로 독서법을 소개하고 있다.

 

책을 읽는 사람, 즉 '나'에 대해 생각해 보고, 좋은 책을 읽고, 작가를 알아가는 과정을 통해서 즐거운 책읽기가 된다. 무작정 읽는 것 보다 테마를 갖고, 주제를 갖고 읽으면 독서의 깊이도 달라진다. 지금과는 다른 색다른 즐거움을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틀에 박힌 시각으로 바라보던 책 읽기가 신선해진다. 그리고 재미없다고 생각해서, 읽기에 부담스럽다고 생각해 밀쳐 두었던 책들을 꺼내 읽을 용기가 생긴다. 이 책에 소개된 250권의 책에 숨겨져 있는 보석 같은 귀절을 알게 된 것도 좋다.

 

기회가 될 때마다 이 책에 소개된 책들을 읽어 볼 생각이다. 이십대에 읽으며 줄을 그어 가며 감동을 받았던 글귀들이 삼십대에는 전혀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만큼 생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어떤 글은 공감이 가지만, 어떤 글은 왜 밑줄을 그었을까 궁금해지는 책들이 있다. 그 글귀 속에서 지난 나의 생각을 들여다 보게 된다. 훗날엔 또 어떤 생각을 들여다 보게 될지 기대가 된다. 그때가 되어 독서의 즐거움을 이제야 알겠다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을만큼 내적으로 성장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