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지 마, 죽지 마, 사랑할 거야 - 지상에서 보낸 딸과의 마지막 시간
김효선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2월
평점 :
절판
감정을 주체하지 못해 아이에게 한바탕 쏟아 부었다. 미안한 마음에 아이를 아무 말 없이 꼭 안아주니 설움에 북받쳐 울다가 잠이 들었다. 그 모습을 보고 있으니 속이 있는대로 상한다. 세상 그 무엇보다 소중한 아이가 잘못을 하면 얼마나 한다고 이 난리를 피우는지 엄마로서 자신에게 회의를 느낀다. 얼마전 한 권의 책을 읽으면서 눈물 콧물을 쏟았고, 지금 현재 아이와 함께 하는 이 시간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절실하게 느끼고 반성했으면서도 그새 잊어 버린 참으로 부족한 엄마이다.
'울지마 죽지마 사랑할꺼야'는 지상에서 딸과 보낸 마지막 시간들이 담겨 있다. 눈물로 쓴 책이기에 독자 또한 눈물로 읽을 수 밖에 없다. 이렇게 많이 울면서 본 책이 있나 싶을 정도다. 한 아이를 낳고 부모가 되면서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졌다. 내 아이만 보이다가 다른 아이도 보이고, 그 아픔을 공감하고, 상처에 분노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만큼 욕심도 자라게 되었고 처음의 그 마음은 잊은채로 아이를 보고, 일상을 살아간다. 그러다 어느날 생각지도 못한 시련과 마주할 때 후회를 하고 많은 것을 느낀다.
딸과 보낸 마지막 시간이 항암치료, 골수이식, 재발로 힘겹게 채워진다. 하루를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눈물겹게 소중한 것인지, 함께 하는 가족에 대해 애틋한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시련이 닥쳐야만 비로소 알게 된다는 것이 안타깝기만 하지만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간이란 우리가 함께 하는 그 자체임을 깨달은 것만으로도 감사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매 순간이 기적을 이루는 날처럼 소중한 시간임을 잊지 말아야겠다. 그 시간을 후회로 채워가지 않도록 더 많이 사랑하고 싶다.
'백혈병'이란 단어는 하늘로 먼저 간 친구가 생각나서 참 아픈 단어이다. 사느라 바빠서 기억 속에서 잘 떠올리지도 않았던 친구를 떠올렸고 미안함에 마음이 아파서 더 많이 울었다. 죽음이 마냥 추상적으로 느껴지다가 그 실체를 알게 되면 그제야 모두가 마주 할 수 있는 두려운 현실임을 받아 들이게 된다. 오늘도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힘들게 줄타기를 하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그 고통을 이해한다고 쉽게 말 할 자신은 없지만 이제는 외면하지 않으려 한다. 하루 하루 너무도 소중한 이 삶에 최선을 다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