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에겐 권리가 있어! ㅣ 다섯 걸음 학교 1
알랭 시셰 글.그림, 김현경 옮김 / 톡 / 2009년 12월
평점 :
언젠가 UN 어린이 권리장전을 읽은 적이 있다. 보면서 참으로 당연한 것을 제대로 보장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떠올리며 마음 아팠었다. 때론 권리 보다는 지켜야 할 의무가 더 우선시 될 때도 있지만 스스로의 권리를 찾는 것은 자존감을 높이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을 이해하게 되면 다른 사람을 배려하는 마음이 생긴다. 그렇다면 우리에겐 어떤 권리가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권리'라는 사회 개념이 다소 어렵게 느껴지지만 아이 눈높이에 맞춰 권리의 개념을 풀어 놓은 그림책을 만났다.
'우리에겐 권리가 있어'는 국제 앰네스티 추천 도서로서 나를 이해하고 남을 배려하기 위한 그림책이다. 권리를 '나'로 부터 시작해 '사회' 라는 개념으로 좀더 확장되어 이해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올해 6살 되는 딸에게 책을 읽어주고는 이해되는지를 물으니 다소 어렵게 느끼는 눈치다. 그림은 단순하고 재미있게 되어 있고, 내용 또한 쉽게 풀어져 있지만 그 의미는 좀 어렵게 느껴졌나 보다. 그래서 '네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먹고 싶은 것을 먹고, 생각하는 것을 말해도 되는 그런 행복한 것'이라고 말해 주었다.
모든 아이들은 사랑받을 권리가 있다. 그런 당연한 권리조차 누리지 못하는 아이들이 무척이나 많다. 폭력, 기아, 질병 등에서 자유롭지 못한 아이들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하는 것은 어른들이 해결해야 할 어려운 숙제이다. '모든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기 위해서 모두 권리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의 권리도 지켜 줄 수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아이들이 그런 환경에서 자랄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 어른, 사회 모두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한 권의 책으로 아이들에 대해 좀더 깊이 생각 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어린이를 위한 권리, 유니세프의 활동, 앰네스티 등 평소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던 다양한 사실들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 보게 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알아 볼 수 있어 참으로 소중한 순간이었다. 부모가 되고부터 아이들의 아픔이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는다. 다른 아이들도 내 자식 같은 마음으로 바라봐야 할 때이다. 내 아이만 귀한 것이 아니라 모든 아이가 귀하고 사랑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