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 1 : 우리말 - 생각이 두 배로 커지는 우리말사전 ㅣ 유래를 통해 배우는 초등 국어 1
우리누리 글, 심심스쿨 그림 / 길벗스쿨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들어 우리말에 관심이 많아서 다양한 책을 읽는 중인데 그때마다 우리말의 매력에 빠져든다. 늘상 쓰는 말이면서도 그 유래는 잘 알지 못하는 말도 있고, 틀린 말인지도 알지 못하고 쓰거나, 잘못 되었다는 것을 알면서도 습관처럼 써와서 쉽게 고쳐지지가 않는 것도 경우도 있다. 하지만 아이가 한창 말문이 트이기 시작하면서 제대로 된 말을 가르쳐줘야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게 된다. 그러자면 평소 쓰는 말도 올바르게 알고 써야겠기에 노력을 하는 중이다.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는 초등 국어 교과서와 일상 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낱말과 관용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딱딱한 설명글이 아니라서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좋다. 카툰을 보면 웃음이 날 정도로 재미가 있다. 네 컷의 만화 속에 그 단어가 어떤 상황에서 쓰이는지 보여주니 더욱 이해가 잘 된다.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상황과 그에 따른 말들을 보면서 그동안 잘 모르고 썼던 말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유래를 듣다 보니 그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게 되어 좋았다.
'바람맞다'는 약속했던 것이 틀어지는 상황에 자주 쓰곤 하는데 그것이 원래는 중풍에 걸렸다는 것을 뜻한다고 한다. 바람 맞은 허탈감을 중풍에 연결시켜 쓰게 된 단어라는 것을 처음 알았다. 천둥도 우리말로 '우레'라고 하는데 자주 쓰는 '우뢰'는 틀린 말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다양한 낱말을 재미있게 풀어 놓고 있다. 유래를 알면 그 말뜻을 제대로 알게 되고 그러면 다른 사람과 대화할때나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글 속에 올바르게 사용할 수가 있다. 어휘력이 늘면 자유롭게 다양한 표현을 할 수가 있다.
아이가 좀더 크면 질문을 할테고 막상 설명하자면 쉽지 않다는 생각이 들어 걱정이 되곤 했는데 이렇게 우리말 유래에 관한 책을 보니 안심이 된다. 요즘은 초등 교과서나 동화책 같은 것도 논술 위주이므로 어릴적부터 다양한 어휘력과 생각의 크기를 키워줘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억지로 가르치려 하기 보다는 일상에서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아름다운 우리말 더욱 아끼고 사랑해야겠다.